•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한은 "집 팔아도 빚 갚기 힘든 고위험가구 39만…지방 집값 하락 부담 증가"

등록 2025.03.27 11:00:00수정 2025.03.27 11:48:2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3월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12일 오후 서울시내 한 은행 외벽에 대출 관련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 이날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2025년 2월중 가계대출 동향(잠정)'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전월에 비해 4조3000억원 증가했다. 새해 금융권 가계대출이 본격 재개되고 신학기 이사 수요가 겹치며 지난해 11월(5조원) 이후 3개월 만의 최대 증가폭을 나타냈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이 전월에 비해 5조원 증가했다. 2025.03.12. kmn@newsis.com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12일 오후 서울시내 한 은행 외벽에 대출 관련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 이날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2025년 2월중 가계대출 동향(잠정)'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전월에 비해 4조3000억원 증가했다. 새해 금융권 가계대출이 본격 재개되고 신학기 이사 수요가 겹치며 지난해 11월(5조원) 이후 3개월 만의 최대 증가폭을 나타냈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이 전월에 비해 5조원 증가했다. 2025.03.12. kmn@newsis.com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금융부채 원리금 상환부담이 높고, 자산 매각을 통해 부채 상환이 어려운 고위험가구가 38만6000가구로 이들이 보유한 금융부채가 72조3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주택가격 하락이 고위험가구의 증가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분석하면서 특히 지방 주택 하락세가 지방 고위험가구의 채무 상환 부담을 증가시킬 것으로 봤다.

한은이 27일 펴낸 '2025년 3월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를 보면 우리나라의 고위험가구는 지난해 말 기준 38만6000가구로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3.2%다. 이들이 보유한 금융부채는 72조3000조원으로 전체 가구의 4.9%를 차지했다.



고위험가구는 원리금상환 부담이 크고(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SR>40%), 자산매각을 통한 부채 상환이 어려운(자산대비부채비율, DTA>100%) 가구를 의미한다.

지난해 고위험가구 수 및 금융부채 비중은 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크게 높아졌던 2023년(각각 3.5%, 6.2%)에 비해 하락(각각 -0.3%포인트 및 -1.3%포인트)했지만, 2022년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가구수 기준으로도 장기 평균(3.1%)를 상회했다.

소득 또는 자산 중 한가지 지표 측면에서 상환능력이 부족한 가구 비중은 318만 가구로 전체의 26.5%를 차지했다. 이들은 전체 금융부채의 34.8%인 512조원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고위험가구의 DSR(원리금상환액/처분가능소득)은 중위값 기준 75.0%며, DTA(총부채/총자산)는 중위값 기준 150.2%로 소득 및 자산 측면에서 채무상환 여력이 크게 저하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지방 고위험가구의 중위값 기준 DSR 및 DTA는 각각 70.9%, 149.7%로 수도권 고위험가구(78.3%, 151.8%)와 차이는 크지 않았다.다만 지방의 고위험가구는 60세 이상 고령층 가구주 비중(18.5%)이 수도권(5.1%) 보다 높아 소득 기반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판단됐다.

이런 가운데 한은은  주택가격의 하락이 고위험가구 증가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추정했다. 금리 및 주택가격 변동분과 주택가격 전망을 반영해 지방과 수도권의 금융부채 기준 고위험가구 비중을 시산한 결과, 지난해 말 지방 및 수도권은 각각 5.4% 및 4.3%로  나타났다.

하지만 올해 말에는 지방(5.6%)과 수도권(4.0%)의 고위험가구 비중 차이가 1.6%포인트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따라 지방의 경제성장이 수도권보다 부진한 가운데 지방 주택가격의 하락세 등을 감안할 때 향후 지방 고위험가구의 채무상환 부담이 증가될 것으로 우려됐다.

특히 서울 등 수도권에 비해 미분양이 늘어나고 건설경기가 부진한 지역의 경우 고위험가구가 늘어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됐다. 이에 따라 지방 고위험가구를 중심으로 부실위험이 확대되지 않도록 관련 동향 및 정부 대응방안 효과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공감언론 뉴시스 njh32@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