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내년부터 스마트폰 FM라디오 수신 가능···삼성 '갤 S9'부터 적용

등록 2017.08.29 15:00:00수정 2017.08.29 15:07:3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

//

재난방송 청취 활성화 목적···데이터 차감 없어
삼성전자 LG전자 스마트폰만 적용, 해외사는 비협조적

【서울=뉴시스】오동현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내년부터 국내에서 출시되는 삼성전자, LG전자 스마트폰을 통해 FM 라디오 방송의 수신이 가능해진다고 29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내년 초 출시 예정인 '갤럭시 S9' 모델부터 FM 라디오 기능을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그동안 판매됐던 삼성전자, LG전자 스마트폰은 일부 보급형 스마트폰을 제외하고는 FM 라디오 방송을 직접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하지만 지난해 9월 경주 지진 발생을 계기로 국민들의 재난 대응 능력 향상을 위해 스마트폰 FM 라디오 수신 기능 활성화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이번 조치가 이뤄졌다.

 이번 스마트폰의 FM 라디오 기능 활성화를 통해 지난 경주 지진과 같은 긴급 재난 시 이동통신망이 마비되는 상황이 오더라도, 스마트폰의 FM 라디오 수신을 통해 재난 방송 청취가 가능해져 국민들의 재난 대응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FM 라디오 방송은 일반적으로 고지대에서 방송을 송출해 지진·해일 등 재난에도 비교적 안정적이며, 이동통신과 달리 송신망의 과부하 문제없이 하나의 방송을 다수 시청자가 동시에 들을 수 있어 재난방송에 특히 적합한 매체다.

 또한 이동통신망을 통하지 않고 라디오 방송을 직접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져 데이터 차감 없이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게 돼 라디오 시청자들의 통신비 절감 효과도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삼성전자, LG전자의 결정은 국민 안전 등 소비자 필요성에 따른 기능 추가에 대해 적극적인 입장을 보이지 않는 외국 제조사와 비교할 때 시사 하는 바가 크다"고 강조했다.

 특히 "입법화를 통한 강제화가 아닌, 산업 생태계를 구성하는 사업자가 소비자 편익을 고려해 자율적인 의사결정으로 중요한 서비스 전환이 이루어진 사례로서, 향후 ICT 분야의 정책 추진에 있어서도 참고할 만한 사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최영해 과기정통부 전파정책국장은 "이번 스마트폰 FM 라디오 기능 활성화로 국민들의 재난 대응능력 향상이 기대된다"며 "그간 정부와 함께 국회에서도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밝혔다.

 이어 "여전히 많은 국민들이 이용하고 있는 라디오의 미디어 매체로서의 경쟁력 제고라는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다"며 "라디오를 중심으로 한 연관 산업의 발전에도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국내 지상파 UHD 방송(ATSC 3.0 기반) 기술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HD 방송 등 이동 중에 모바일 기기를 통해 미디어 이용이 가능한 기술이 발전하고 다양화되는 점을 활용해 시청자가 좀더 편하고, 적은 비용으로 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검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앞서 과기정통부는 입법화를 통한 의무화는 무역협정 이슈, 외산 스마트폰 의무화 적용이 현실적으로 어려워 소비자 선택권 축소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과 국제 동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국회와 함께 사업자 자율적으로 FM 라디오 기능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해 왔다.

 이동통신사도 FM 라디오 방송이 가지는 재난방송으로의 수신 강점, 라디오 청취 인구 등을 고려해 과기정통부와 함께 제조사에 FM 라디오 기능 활성화의 필요성을 수차례 요구했다.
 
 하지만 스마트폰 제조사는 갈수록 가볍고 얇은 두께로 제조되는 단말기 개발 경향에 반해 기능이 추가되는 것에 따른 개발 부담, 대부분의 스마트폰에 DMB 기능이 활성화돼 있는 점 등을 고려해 FM 라디오 기능 추가에 신중한 입장을 보여 왔다.

 이후 제조사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지속적인 필요성 주장과 관심 표명, 재난방송 수신기로서 스마트폰의 중요성 등을 감안해 국내 모든 스마트폰에 FM 라디오 기능을 활성화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