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관 막히면 돌연사 위험…50대 이상 만성질환자 '경고등'
혈전으로 대동맥·말초혈관 등 막히면 돌연사 위험 커져
"흡연·비만·만성질환 동반 50대 이상 혈관 초음파 필요"
[서울=뉴시스]안형준 경희대병원 이식혈관외과 교수 수술 사진. (사진= 경희대병원 제공) 2021.06.07
7일 경희대병원에 따르면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으로 대표되는 3대 만성질환은 우리 몸의 혈관을 위협한다. 급성심근경색 및 뇌졸중으로 대표되는 심장·뇌 질환, 대동맥 질환과 말초혈관 질환은 만성질환으로 인해 탁해진 혈액 속 혈전들이 심장혈관과 뇌혈관, 대동맥, 말초혈관을 막아 발생된다.
심장·뇌 혈관은 길이가 짧아 증상이 바로 나타나지만, 복부대동맥부터 말초혈관에 이르는 팔다리 혈관은 매우 길어 협착이 있다 해도 증상을 바로 알 수 없다. 이들 혈관이 막혀 다리가 붓고 저리며 보행이 어려울 정도의 극심한 통증으로 병원을 찾았을 때는 이미 혈관 질환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안형준 경희대병원 이식혈관외과 교수는 “복부의 대동맥에서부터 허벅지와 무릎 이하 발목, 발등, 발가락에 퍼져있는 말초혈관 질환은 고령화와 각종 만성질환으로 인한 동맥경화로 상당히 오랜 기간 협착, 폐색 등을 일으킨다”며 “특히 동맥이 늘어나는 동맥류, 동맥이 막히는 동맥 폐색 등은 대동맥 파열과 다리 괴사 이전까지 큰 증상이 없어 모르고 지내다가 결국 심각한 상황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대동맥 질환인 대동맥류는 지속적으로 혈관이 늘어져 파열될 때까지 큰 통증이나 증상이 없다. 혈관이 막혀 괴사를 일으키는 대동맥 폐색도 마찬가지다. 환자들 대부분은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을 동반하고 있어 질환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팔다리 혈관인 말초혈관 질환도 긴 혈관으로 인해 증상이 서서히 나타난다. 동맥경화로 인한 혈전들이 말초혈관 안에 쌓이면서 걷지도 못할 정도의 저림, 보행장애 등이 야기된다.
가장 기본적인 혈관질환 진단법은 초음파 검사다. 혈관 초음파를 통해 막힌 병변을 확인하고 혈관 구조를 영상·해부학적으로 파악한다. 추가로 컴퓨터 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를 시행해 정확한 병변을 재확인한다.
환자의 혈관 기능 소실 여부를 수치로 정확히 제시하는 혈관기능 검사도 중요하다. 환자의 혈관 상태와 기능을 정확히 계량해 수술 외 약물치료, 스텐트, 풍선확장술 등 치료의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불필요한 치료를 줄일 수 있다.
안 교수는 “혈관질환은 대부분 증상이 없어 모르고 지내다가 동맥 파열로 집에서 사망하거나 응급 수술 도중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면서 “흡연자이고 비만이거나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 각종 만성질환을 동반한 50~60대 이상 고령층은 정기적으로 초음파를 통한 혈관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혈관질환은 치료 시기를 놓치면 큰 후유증을 남기는 것은 물론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조기 진단을 통한 관리가 중요하다.
안 교수는 “혈관질환을 병변을 오랫동안 방치할 경우 동맥이 딱딱하게 굳어 수술이 어렵고 약물치료도 할 수 없다”면서 “현재 상태를 정확히 진단받고 관리, 치료한다면 질환 진행을 늦출 수 있으며 절단 등 최악의 상태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기 진단으로 최대한 치료 시기를 앞당겨 혈관병 때문에 갑자기 생명을 잃는 경우는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희대병원 이식혈관외과는 24시간 응급체제로 운영된다. 미세혈류측정기, 혈관기능검사기 등 최신의 장비를 모두 구비하고 있고 국제학회 가이드라인에서 유일하게 인정받은 혈관 기능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특히 실시간 운영되는 혈관기능검사실은 영상의학과, 신경외과, 내과 등 다른 과와의 협업을 바탕으로 혈관검사 당일 치료방침을 세우고 치료를 바로 시작할 수 있도록 돕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