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세브란스 교수들 "27일부터 무기한 휴진…환자에 송구"(종합)

등록 2024.06.26 17:41:34수정 2024.06.26 18:38:5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전체교수 뜻…의료혼란 종식위한 최후수단"

"환자와 가족 불안 유감…조속한 해결 노력"

"정부 시늉뿐인 대화 아닌 진정한 소통해야"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세브란스 병원 의료진이 18일 오후 연세대 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주최로 연세 의대 임시 전체 교수 회의가 열리는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의과대학으로 들어서고 있다. 2024.03.18. xconfind@newsis.com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세브란스 병원 의료진이 18일 오후 연세대 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주최로 연세 의대 임시 전체 교수 회의가 열리는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의과대학으로 들어서고 있다.  2024.03.18.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서울대병원, 서울성모병원, 삼성서울병원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을 중단 또는 유예한 가운데, '빅5 병원' 중 한 곳인 세브란스병원 교수들은 예고대로 오는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응급실·중환자실 등 제외)에 들어가기로 했다.

세브란스·강남세브란스·용인세브란스병원이 소속된 연세대 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26일 성명을 내고 "지난 12일 연세대 의대 교수들의 뜻에 따라 결의한 대로 27일부터 기한이 없는 휴진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입원 병동, 응급실, 중환자실, 투석실, 분만실 및 필수유지 업무 등을 제외한 비중증 상태 환자의 외래진료와 비응급 수술 및 시술을 중단하고 진료 일정을 재조정하기로 결정했다.

비대위는 "지난 12일 전체 교수의 뜻을 반영해 기한이 없는 휴진을 현재의 혼란을 종식시키기 위한 최후의 수단으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휴진은)하루하루 급변하는 의료혼란의 정세 속에서 환자와 국민, 학생과 전공의, 교직원, 교수까지 모든 당사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우리의 뜻을 온전히 전하기 위해 마지막의 마지막까지 고민하고 논의한 결과이고, 강제적이거나 폭압적인 과정에 의한 것이 아닌 개인의 양심과 자율에 기반한 결정"이라고 했다.

비대위는 "정부는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의 일방적 발표로 의료 혼란을 야기했다"면서 "세브란스병원의 전공의들과 연세대 의대 학생들은 의료와 학업 현장을 떠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비대위는 연세대 의대 교수 각자의 선택과 결정을 존중하며 환자와 학생, 전공의, 교직원, 교수 당사자를 보호하는 책무를 갖고 있다"고 했다.

비대위는 환자들의 진료 차질 우려와 정부의 압력에도 휴진을 결정한 것은 현재 의료정책의 심각한 문제에 대한 적극적 의사 표현을 더 이상 미룰 수 없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비대위는 "지난 몇 달 동안 의료계는 진료를 가까스로 유지하고 있었을 뿐 의료를 필수불가결하게 구성하는 교육과 연구, 사회와의 협력이 단절된 상태"라고 말했다.

또 "환자들의 우려에 송구한 마음"이라면서 "의료는 환자를 질병의 고통에서 해방시키는 인간의 가장 숭고한 행위인 만큼 환자와 가족의 불만과 불안을 심히 유감스럽게 생각하며 조속한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지금의 혼란이 야기되는 과정에서 의료계가 기민하게 대처하지 못했음을 반성한다"면서도 정부의 전향적인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

비대위는 "현 상황의 근본적인 원인이 의료에 대한 정부의 잘못된 인식에 있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정부는 전문가로서 의료계의 문제 의식에 귀를 기울이고, 시늉뿐인 대화를 진정한 소통으로 변화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세브란스병원 등 연세대 의대 교수들은 정부가 의료 및 의대 교육 사태를 해결하는 가시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27일부터 응급·중증환자 진료를 제외한 무기한 휴진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