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日, 사도광산 조선인 노역 역사 현지서 전시 방침…韓과 큰틀합의"

등록 2024.07.26 09:46:19수정 2024.07.26 11:12: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韓 요청 노동 ‘강제성’ 표현 한일 간 막바지 조정"

[니가타=AP·교도/뉴시스] 일본 정부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세계 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佐渡)광산'을 둘러싸고 "(사도)광산에서 한반도 출신을 포함한 노동자가 일한 역사를 현지에서 전시할 방침을 굳혔다"고 아사히신문이 26일 보도했다. 사진은 2021년 8월 19일 사도광산의 상징적인 채굴터인 아이카와쓰루시긴긴잔의 '도유노와리토(道遊の割戸)'의 모습. 2024.06.07.

[니가타=AP·교도/뉴시스] 일본 정부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세계 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佐渡)광산'을 둘러싸고 "(사도)광산에서 한반도 출신을 포함한 노동자가 일한 역사를 현지에서 전시할 방침을 굳혔다"고 아사히신문이 26일 보도했다. 사진은 2021년 8월 19일 사도광산의 상징적인 채굴터인 아이카와쓰루시긴긴잔의 '도유노와리토(道遊の割戸)'의 모습. 2024.06.07.


[서울=뉴시스] 김예진 기자 = 일본 정부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세계 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佐渡)광산'을 둘러싸고 "(사도)광산에서 한반도 출신을 포함한 노동자가 일한 역사를 현지에서 전시할 방침을 굳혔다"고 아사히신문이 26일 보도했다.

신문은 복수의 한일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이 같이 전하고 "한국 정부와 큰 틀 합의했다"고 했다.

세계 유산 등재를 심의하는 세계유산위는 지난 21일부터 인도에서 열리고 있다. 사도광산에 대한 심의는 26~29일 이뤄질 전망이다.

사도광산은 일제강점기 조선인이 강제노역했던 현장이다. 에도(江戶)시대(1603~1868년)부터 유명한 금광이었으며 태평양전쟁 때는 구리, 철 등 전쟁물자를 캐는 데 활용됐다.

이에 일본은 사도광산 등재를 위한 기간을 에도시대까지로 한정했다. 의도적으로 조선인 강제노역 시기를 지운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 측에서는 반발해 왔다.

앞서 지난달 6일 유네스코의 자문기구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이코모스)는 사도광산의 세계 유산 등재에 대해 '보류(Refer·정보 조회)' 권고를 내린 바 있다. 4단계 평가 중 2번째 단계다.

이코모스의 권고에는 "광업 채굴이 이뤄지고 있던 모든 시기를 통한 추천 자산에 관한 전체 역사 현장 레벨에서 포괄적으로 다루는 설명·전시 전략을 책정해 시설·설비를 갖추는 것" 등의 요청 사항이 포함됐다. 한국 측의 입장을 반영한 권고를 내린 것으로 풀이된다.

아사히는 한국 정부가 사도광산을 '강제노동 피해 현장'으로 주장했다며 "세계유산위는 만장일치(컨센서스)로 등재 결정하는 것을 관계로 하고 있어 위원국인 한국의 이해를 얻는 게 큰 과제였다"고 짚었다.

신문에 따르면 한일 정부는 이코모스의 6월 통지 후 양국 여론 반발을 배려하며 물밑 조율을 본격화해왔다. "윤석열 정부 출범으로 한일 관계가 개선되는 가운데 일본 정부는 한국 측의 요구를 일정 정도 양보할 방침을 굳히고, 한반도 출신 노동자 존재를 현지 전시에서 소개하고 세계유산위에서 이 같은 입장을 표명하기로 결정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그러나 아사히는 "한국 측이 요청하는 노동의 ‘강제성’을 어떻게 표현할지는 양 정부 간 막바지 조정이 계속되고 있다"고 전했다.

2015년 하시마(端島·군함도) 등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유산'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됐을 때 조선인 강제 노역 등 역사를 알리겠다 했으나 이를 이행하지 않았다. 전체 역사를 설명하기 위한 '산업유산정보센터'는 도쿄에 설치됐으며 여기에서도 조선인 노동자 차별 등은 다뤄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