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경제활동 없는 이혼한 젊은 남성, 극단적 선택 위험성 17.5배↑

등록 2022.12.28 18: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고려대 의과대학 이요한 교수 연구팀 연구결과 발표

2008년부터 2017년까지 극단적 선택 전수 조사해 분석

교육수준 낮고 경제활동 없는 이혼남, 극단적 선택 위험


충남 공주시 금강철교에 설치된 자살예방 SOS 생명의 전화 (사진=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충남 공주시 금강철교에 설치된 자살예방 SOS 생명의 전화 (사진=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송종호 기자 = 경제활동을 하지 않고, 이혼한 청년 남성일 경우 극단적 선택을 할 위험이 17.5배 높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이요한 교수팀은 경제활동인구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극단적 선택 위험에 대한 연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 극단적 선택으로 목숨을 끊은 사례들을 전수조사해 분석한 결과다.

이를 통해 ▲교육 수준이 낮거나 ▲경제활동을 하지 않고 ▲이혼을 한 경우 극단적 선택의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전 연령층에서 관찰됐으나 25세에서 34세 연령층에서 두드러졌다. 연령이 높을수록 위험은 점점 감소했고, 특히 25~34세 여성 중 이혼을 경험한 경우, 극단적 선택 위험이 기혼 청년층(25세~34세)에 비해 7.9배 높게 나타났다.

또 교육수준·경제활동·결혼상태 중 2가지 조합으로 볼 경우 극단적 선택은 더욱 증가했는데 경제활동을 하지 않고 혼인상태가 이혼인 경우 극단적 선택 위험이 가장 높았다. 특히 25세에서 34세 사이 남성의 경우 극단적 선택 위험이 17.5배 증가했다.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의 극단적 선택 사례가 사회경제적 요인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는 것과 사회적 환경에 가장 많이 노출되고 있는 경제활동 인구 내에서 연령 별로 극단적 선택 위험의 크기가 다르다는 것을 시사했다.

연구팀은 개인이 처한 사회경제적 어려움은 심리적, 사회적 지지를 함께 제공해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 보건의료와 사회경제적 접근의 병행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실업과 이혼 같은 부정적 사건을 경험한 이들이 겪는 정신적 어려움은 더 크기 때문에 정신적 어려움을 상세하게 파악하고, 사회적 지원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요한 교수는 “현재 고도화된 한국 사회에 진입하는 사회 초년기 청년들은 다양하고 여러 사회적 어려움을 직접 마주하게 되지만, 사회적 안전망은 다른 성인 연령층에 비해 부족하기 때문에 어려움의 무게는 더 클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특히 코로나 팬데믹으로 청년 실업률과 이혼율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청년들의 어려움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들이 정신적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사회적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