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가노이드' 바이오텍 올해 잇달아 성과…개발 현황은?
기업공개·업무협약 등 으로 존재감 과시
[서울=뉴시스] 오가노이드사이언스 세포처리시설 (사진=뉴시스 DB)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황재희 기자 = 유사장기로 불리는 ‘오가노이드’ 개발이 갈수록 확대되면서 이를 개발하고 있는 국내 바이오텍들의 성과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8일 한국바이오협회 ‘국내외 오가노이드 규제 및 산업 현황’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오가노이드 시장 규모는 2023년 약 14억2000만 달러(한화 약 2조원)에서 오는 2028년 43억8000만 달러(약 6조원)로, 연평균 25.2% 성장이 예상된다.
치료도구로 오가노이드 채택, 신약 발견 및 맞춤형 의학에 오가노이드 적용, 연구개발에 오가노이드 사용 증가 등으로 오가노이드 시장이 각광받고 있는 것이다.
오가노이드는 줄기세포를 3차원적으로 배양하거나 재조합해 만든 인체장기 유사체로, 뇌와 심장, 간 위, 장 피부 등 신체와 동일한 구조로 만들어 동물실험을 대체하거나 맞춤형 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넥셀과 오가노이드사이언스, 넥스트앤바이오 등이 오가노이드를 개발 중으로, 올해 성과가 기대되고 있다.
배아줄기세포 및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기술을 개발하는 넥셀은 최근 코스닥 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를 통과했다.
hiPSC를 다양한 체세포로 분화시켜 제품화하고, 이를 활용한 신약 독성 및 유효성 스크리닝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iPSC는 성체 세포에서 직접 제작할 수 있는 분화만능 줄기세포이다. 만능이라는 말처럼 인체기관의 신체 조직 및 장기 등으로 분화가 가능한 세포로, 조직의 재생과 세포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넥셀은 hiPSC 분화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hiPSC 유래 세포제품을 미국, 인도, 일본, 중국 및 영국시장에 수출하고 있다. 또 심근세포를 활용한 심장 안전성 평가와 약물 평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 중국과 일본에도 사업을 개시했다.
오가노이드사이언스도 올해 하반기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오가노이드사이언스는 성체줄기세포를 사용한 오가노이드로 세포치료제 및 약물 스크리닝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자체 개발한 장 오가노이드 치료제 아톰(ATORM)-C는 임상 1상 투여를 앞두고 있다.
또 최근 오가노이드 연구개발 및 사업화 강화를 위해 광역지방자치 단체인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북도와 각각 투자협약을 체결해 오가노이드 기반 재생치료제의 임상 개발 및 상업화를 준비 중이다.
한국콜마홀딩스가 인수한 넥스트앤바이오는 국내 최초로 췌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 돌입한다. 시중에 나와있는 췌장암 치료제 가운데 개별 환자에게 어떤 약이 가장 잘 듣는지 오가노이드에 먼저 시험한 뒤 이를 환자에 투입해 대조해보는 형태다.
넥스트앤바이오는 이번 임상을 발판 삼아 췌장암, 폐암 등 고형암 환자 조직을 기반으로 한 오가노이드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MOU(업무협약)을 통한 성과도 이어지고 있다.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보유한 티앤알바이오팹은 한국공학대, UCSD 의과대학 연구팀과 뇌 오가노이드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MOU를 체결했다. 치료제 개발을 위한 임상 허가를 받기 위해 갖춰야 하는 300억원 규모의 신규 공장도 지난해 마련했다.
강스템바이오텍은 아크로셀바이오사이언스와 세포전달체 기술을 적용한 줄기세포 치료제에 관한 공동 연구를 진행 중이다. 강스템바이오텍의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 기술에 아크로셀의 세포전달체 플랫폼 ’LArGO 하이드로젤‘을 접목해 신개념 세포치료제 개발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세라트젠은 강스템바이오텍과 췌도 오가노이드 기반의 당뇨병 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한 MOU를, 스페바이오는 에피바이오텍과 차세대 탈모치료제를 개발에 나섰다. 바이오솔빅스는 최근 삼성서울병원과 대장암 및 폐암의 종양미세환경을 모사하는 암 오가노이드 플랫폼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에 나섰다.
한국바이오협회 산업정책본부 정책분석팀 박봉현 과장은 “오가노이드 분야의 경쟁력을 높이고 글로벌 규제조화를 이루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정부 부처도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며 “연구 초기 단계부터 상용화 단계까지 순차적인 규제 정비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기술 혁신 촉진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jhee@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