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가슴멍울 무조건 유방암일까…"양성질환 가능성도 높아"

등록 2024.07.17 07:01: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유방촬영술·초음파 검사로 판별 필요해

엽상종양은 섬유선종과 감별진단 해야

[서울=뉴시스] 지난 5월 21일 의료AI 기업 딥바이오는 유방암 수술 후 체취한 검체에서 침윤성 유방암(IDC)의 병변과 비침윤성 상피내암(DCIS)의 병변을 정확하게 분할 암종을 식별하는 자사의 유방암 분석 AI 알고리즘 성능 평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사진=딥바이오 제공) 2024.05.2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지난 5월 21일 의료AI 기업 딥바이오는 유방암 수술 후 체취한 검체에서 침윤성 유방암(IDC)의 병변과 비침윤성 상피내암(DCIS)의 병변을 정확하게 분할 암종을 식별하는 자사의 유방암 분석 AI 알고리즘 성능 평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사진=딥바이오 제공) 2024.05.21.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송종호 기자 = 유방암 환자는 2021년 기준 2만 8000명으로 여성에게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이다. 유방암의 주요 증상은 통증 없는 멍을이 만져지는 것이지만 이러한 덩어리가 만져지거나 병변이 발견된다고 해서 모두 유방암은 아니다.

17일 의료계에 따르면 섬유선종은 유방 종양 중 가장 흔한 양성 종양이다. 유방의 한 국소 부위가 다른 부위에 비해 에스트로겐에 대한 민감도가 높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주로 20세부터 50세 사이의 여성에서 흔하며 대부분 암하고는 관계가 없는 혹이다. 자라다가 멈추는 경우도 많아 대부분은 1㎝ 미만에서 커지다가 멈춘다. 일반적인 섬유선종은 자라면 제거를 하는 것이 좋으나 제거하지 않아도 크게 위험하지 않다. 특히 젊은 여성이라면 특별한 치료 없이 유방 초음파 추적검사만 시행하는 경향이 있다.

다만 복합 섬유선종은 유심히 살펴야 한다. 종양 주변에 암을 키우기도 하기 때문에 전체 조직검사가 필요하다. 즉 복합 섬유선종일 경우에는 일반 섬유선종보다 암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복합 섬유선종은 수술이 꼭 필요하다.

엽상종양은 비교적 드문 유방 종양이지만 위험하다. 이는 종양 내부가 나뭇잎처럼 생겨서 엽상종양이라고 하며 자라는 속도가 매우 빠르고 크게 자란다. 악성종양, 섬유선종과 잘 구분되지 않아 조직검사를 필수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60~70% 이상은 양성이며, 악성은 약 16~30% 정도다. 악성 엽상종양인 경우 20~25%는 폐나 뼈로 전이된다.

엽상종양은 재발을 잘하는 편이다. 따라서 수술 시 정상 범위까지 넓게 잘라내 재발 가능성을 없애는 것이 안전하다. 처음에는 다른 곳으로 퍼지지 않는 양성 엽상종양으로 시작했다가 재발을 거듭하는 과정에서 악성 엽상 종양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이는 예후도 좋지 않고 치료도 일반 유방암과 다르다.

유방 엽상종양의 치료는 수술을 원칙으로 한다. 크기가 작은 양성 엽상 종양은 정상 유방 조직을 포함해 광범위하게 절제한다. 크기가 큰 엽상종양, 악성 엽상종양인 경우 광범위한 유방 절제술을 시행해야 재발을 줄일 수 있다.

세란병원 외과 정홍규 과장은 "엽상종양은 악성 종양으로 진행될 수 있는 질환으로 섬유선종과 감별진단을 해야 하는 종양"이라며 "대부분 양성이나 드물게 악성일 가능성이 있고 양성인 경우 국소재발이 흔해 완전절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유방에서 덩어리가 만져진다고 해서 모두 암은 아니고 섬유선종 등의 양성질환일 가능이 높다"라며 "유방에 생긴 종양이 어떤 것인지 유방촬영술과 초음파 검사로 판별하고 유방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종양인지 초기에 판별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