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위험물 초과에 소화설비 불량"…배터리 공장 5곳 중 1곳 '법 위반'

등록 2024.07.22 14:00:00수정 2024.07.22 14:32: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범정부 '전지 공장화재 재발방지 TF' 2차 회의 개최

소방청, 413개소 전지공장 화재안전조사 결과 발표

88곳서 총 119건 위법 적발…입건 등 즉시 보완조치

[화성=뉴시스] 김종택 기자 = 지난달 25일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리튬전지 공장 화재 현장에서 경찰과 소방,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화재 원인을 찾기 위한 합동 감식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4.06.25. photo@newsis.com

[화성=뉴시스] 김종택 기자 = 지난달 25일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리튬전지 공장 화재 현장에서 경찰과 소방,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화재 원인을 찾기 위한 합동 감식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4.06.25.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강지은 기자 = 경기 화성시 리튬 배터리 공장 화재로 작업자 23명이 숨지는 등 3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가운데, 국내 전지 관련 공장 5곳 중 1곳에서 위험물 취급 관리 소홀 등 법 위반 사항이 무더기 적발됐다.

소방청은 22일 이한경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개최된 범정부 '전지 공장화재 재발방지 태스크포스'(TF) 2차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전지 관련 공장 긴급 화재안전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앞서 소방청은 지난달 24일 화성 공장 화재와 관련해 이튿날인 6월25일부터 7월9일까지 국내 1·2차 전지 관련 공장 413개소를 대상으로 긴급 화재안전 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그 결과 325개 업체(78.6%)는 관리가 양호했으나, 나머지 88개 업체(21.3%)에서는 총 119건의 법 위반 사항이 적발됐다.

88개 업체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기 45개소, 충남·전북 각 9개소, 충북·경북 각 5개소, 전남·경남 각 4개소, 대전·울산·강원 각 2개소, 인천 1개소 등이다.

특히 허가받지 않은 장소에서 지정 수량 이상 위험물 저장·취급 위반(입건 4건), 경보 및 소화설비 등 소방시설 불량(조치명령 95건), 불법 가설 건축물 사용 및 방화문 변경(기관통보 10건) 등 주요 위법 사항을 적발해 즉시 보완토록 조치했다.

소방청 관계자는 "전지 공장의 경우 리튬 뿐만 아니라 석유 등 다양한 위험물을 취급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기준을 초과한 부분이 적발됐다"며 "스프링클러나 소화기를 제대로 설치하거나 비치하지 않은 곳들도 많았다"고 말했다.

실제로 화재가 발생한 화성 공장의 경우 2019년 원재료인 리튬을 허가량보다 23배 초과 보관해 적발된 바 있다.

이번 화재 당시에는 위험성이 높은 많은 양의 리튬 배터리를 한 공간에 둔 것이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 공장에는 리튬 배터리 완제품 3만5000여개가 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시스] 배훈식 기자 =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전지 공장 화재 재발방지 대책 마련 TF 1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4.07.04. dahora83@newsis.com

[서울=뉴시스] 배훈식 기자 =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전지 공장 화재 재발방지 대책 마련 TF 1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4.07.04. [email protected]

소방청은 이번 조사를 통해 전지 저장 공간과 제품 작업장 구분의 기준 모호,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소방·산업 안전교육 미흡, 작업장 내 물품 적치로 비상 대피로 확보 어려움 등 제도 개선이 필요한 부분도 보고했다.

소방청은 현재 리튬전지 화재대응 기술개발 연구용역, 리튬전지 등 화학물질 폭발과 화재에 적용 가능한 소화약제 개발, 리튬전지 소화기기 인증기준 도입 등 개선 과제도 추진 중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경기도가 전지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31개 시·군 공무원들과 전지업체 의견을 수렴해 현장의 건의 사항을 발표하기도 했다. 근로자 안전 교육에 대한 처벌 및 인센티브 강화, 열악한 중소업체에 대한 소화설비 지원 등이다.

이 밖에 지난 1차 회의 이후 보완된 부처별 추진 과제도 논의했다.

주요 논의 과제는 배터리 폭발·화재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전지업체 건축 및 시설기준 개선사항, 온도·습도 등 환경 변화를 실시간 감지해 발화 조건을 사전 차단하는 화재예방 기술개발 등이다.

정부는 화성 화재 원인 조사를 통해 발굴된 문제점과 현장의 애로사항, 전문가 의견 등을 반영해 재발 방지 개선 대책을 조속히 마련할 방침이다.

이한경 본부장은 "비슷한 사고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법과 제도 뿐만 아니라 교육, 기술개발 등 안전관리 전반을 살펴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