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T, 신경전달물질 `세로토닌’ 조절 대장암 치료 길 열어
오창명·안진희 공동연구팀, 마우스 종양 모델서 확인
국제학술지 지난 9월 게재
[광주=뉴시스]대장암 환자에서 HTR2B 발현과 사망률 사이의 관계.
[광주=뉴시스] 배상현 기자 = 광주과학기술원(GIST) 연구진이 신경전달물질 ‘세로토닌’을 조절해 대장암 치료 가능성을 제시했다.
GIST는 의생명공학과 오창명 교수와 화학과 안진희 교수(제이디바이오사이언스 대표) 공동 연구팀이 세로토닌 수용체 중 하나인 `HTR2B'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대장암 세포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는 한편 악성 종양의 생장 억제를 위한 약물 처방을 제시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팀은 대장암이 아닌 환자와 대장암 환자에서 HTR2B 발현 비율에 따른 사망률을 확인했고 대장암 환자의 조직을 채취한 후 정상 조직과 대장암 조직에서 형광 염색을 통해서 발현 정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 대장암 환자 중 HTR2B의 발현율이 50% 이상으로 높은 집단은 약 8년 정도 경과 후에 생존율이 0%에 가까운 반면, 상대적으로 낮은 집단은 약 60%의 생존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또 대장암 환자에서 채취한 대장암 종양 조직과 정상 조직에서 HTR2B 발현을 확인했을 때 대장암 조직에서 HTR2B의 발현 비율이 약 60%이고 정상 조직은 약 30%로 약 2배의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또 대장암 세포를 주입한 마우스 종양 모델을 만들고 일정 주기마다 HTR2B 저해제(SB204741)를 복강 내 주사했으며 약 3주 후 전체적으로 종양 크기와 질량이 약 50% 이상 감소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오창명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를 통해 세로토닌 수용체 HTR2B를 저해함으로써 대장암 세포의 성장 억제를 통해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면서 “안진희 교수 연구실에서 합성한 새로운 HTR2B 저해제를 활용한다면 대장암 환자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접근방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우수신진연구과제의 지원을 받았으며, 약리학 및 약학 분야 국제학술지 `Biomedicine & Pharmacotherapy'에 지난 9월 게재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