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과기정통부 "산불 피해 지역 이동통신 기지국 82.6% 복구"

등록 2025.03.28 14:40:56수정 2025.03.28 14:54: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통신시설 피해 현황 24시간, 4시간 간격 보고…유선통신 94.1% 복구

현장 밀착 지원 위해 지원반 가동…유상임 장관, 긴급 현장 방문

[안동=뉴시스] 김금보 기자 = 27일 경북 안동시 원호리 일직면 일대에서 산림청 진화대원들이 산불 진화 작업에 나서고 있다. 2025.03.27. kgb@newsis.com

[안동=뉴시스] 김금보 기자 = 27일 경북 안동시 원호리 일직면 일대에서 산림청 진화대원들이 산불 진화 작업에 나서고 있다. 2025.03.27. kgb@newsis.com


[서울=뉴시스] 심지혜 기자 = 전국 동시 다발 산불에 따른 통신시설 및 유료방송 피해가 상당수 복구됐다. 정부는 현장 정상화를 위해 지속 모니터링한다는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주요 사업자의 통신시설 피해 현황을 24시간, 4시간 간격으로 보고 받는 등 모니터링을 지속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대상 지역은 경남 산청군, 경북 의성군, 안동시, 영덕군 등이다.

오전 11시 기준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사업자 기지국 2879개소가 피해를 입었고 이 중 2384개소(82.8%)가 복구됐다.

인터넷·인터넷전화 등 유선통신은 2만27회선이 피해를 입었고, 1만8836회선(94.1%)이 복구됐다. 장애가 발생한 유료방송은 1만9249회선이며 이 중 1만7850회선(92.7%)이 복구됐다.



앞서 과기정통부는 지난 25일 디지털기반안전과장 주재로 상황판단회의를 통해 방송통신재난 위기경보 '주의' 단계를 발령했다. 27일에는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 주재 상황판단회의를 통해 이를 '경계' 단계로 상향했다.

강도현 과기정통부 2차관은 안동 지역 현장에 방문해 통신망 점검과 복구를 지휘했다. 청송, 영덕 등 산불 추가 확산지역의 통신 복구를 위해 가용 자원을 집중 투입하고 있다. 전날(27일) 기준 이동기지국 6대, 간이기지국 1개소, 발전차 38대, 휴대용 발전기 211대, 현장 복구인력 771명 등이다.

또한 방송통신 분야 피해 복구 현장의 밀착 지원을 위해 현장지원반도 운영하고 있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날 오후 통신망 및 현장지원반 점검을 위해 안동 지역에 긴급 방문한다. 안동 진화 현장을 확인하고 안동 체육관과 안동 우편집중국을 찾을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siming@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