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트럼프 '인도·태평양' 전략, 인도 입지 키워야"

등록 2017.11.15 15:36:4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마닐라=AP/뉴시스】제31회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정상회의 참석차 필리핀을 방문 중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13일 양자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도중 악수하고 있다. 이날 인도는 미국과 일본이 주도하고 있는 인도·태평양 전략 논의에 본격적으로 참여했다.2017.11.14

【마닐라=AP/뉴시스】제31회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정상회의 참석차 필리핀을 방문 중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13일 양자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도중 악수하고 있다. 이날 인도는 미국과 일본이 주도하고 있는 인도·태평양 전략 논의에 본격적으로 참여했다.2017.11.14

【서울=뉴시스】이지예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새 아시아 정책으로 제시한 '인도·태평양' 전략이 성공하려면 먼저 역내 인도의 입지를 키워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CNBC방송은 15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뜻대로 인도를 전략적 파트너로 삼아 인도·태평양 구상을 성공시키려면 아시아 내 인도의 외교, 경제적 영향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인도·태평양은 기존의 '아시아 태평양' 개념을 확대해 미국, 일본, 호주, 인도 등 4개국의 역내 협력을 강화하자는 전략이다. 정식 명칭은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free and open Indo-Pacific)이다.

 인도는 미국과 동맹조약을 체결한 나라는 아니지만 민주주의 가치를 공유하는 등 왕성한 양자 관계를 형성해 왔다. 이른바 '쿼드'(Quad)라고 불리는 미, 일, 호주, 인도의 비공식 방어동맹에도 뜻을 같이하고 있다.

 인도·태평양 전략은 사실상 중국의 역내 패권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은 이에 지속적인 우려를 표명해 왔다. 역내 협력 이슈를 정치화하거나 특정 세력을 배제하는 데 활용하지 말라는 주장이다

 옵저버연구재단(ORF)의 마노 조시 연구원은 "좋든 싫든 인도·태평양이라는 개념은 태평양 내 미국의 군사적 계산 전략에 인도를 포함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미 국무부 남아시아 담당 부차관보를 지낸 알리사 아이레스는 "아태 지역 내 인도의 지리적 연결성은 트럼프 행정부가 추구하는 전략적 사고의 초석"이라고 강조했다. 인도는 중국과 태평양 한가운데에 위치한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인도를 잘 활용하려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정부의 아시아 내 입지를 강화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미국이 인도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가입을 지지하고 지정학적 갈등 해결도 지원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아이레스 전 부차관보는 "미국이 외교적 자본을 동원해 인도를 APEC에 가입시키면 중국의 영향력을 상쇄하는 동시에 인도·태평양 지역의 경제적 균형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시 연구원은 트럼프가 인도의 지정학적 문제에 더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며 "인도·태평양을 말하면서도 인도-파키스탄 갈등, 이란으로 인한 페르시아 만 정세 불안정 등을 놓고는 연계되기를 거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