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이·팔전쟁' 가짜뉴스 제조기 된 '엑스'…"머스크도 확산 조장"

등록 2023.10.10 11:20:29수정 2023.10.10 11:25:2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하마스 공습, 이스라엘 총리 부상 등 허위 정보 유통

머스크, 가짜뉴스 확산 이력 있는 계정 "팔로우" 추천

[칸 유니스=AP/뉴시스] 일론 머스크의 엑스(X, 옛 트위터)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 관련 가짜 뉴스를 확산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사진은 지난 8일(현지시각) 가자지구 칸 유니스에서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이스라엘의 공격으로 파괴된 사원 잔해를 살피는 모습. 2023.10.10.

[칸 유니스=AP/뉴시스] 일론 머스크의 엑스(X, 옛 트위터)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 관련 가짜 뉴스를 확산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사진은 지난 8일(현지시각) 가자지구 칸 유니스에서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이스라엘의 공격으로 파괴된 사원 잔해를 살피는 모습. 2023.10.10.


[서울=뉴시스] 이혜원 기자 =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 공격으로 분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일론 머스크의 엑스(X·옛 트위터)가 이·팔 전쟁 관련 가짜뉴스를 증폭시킨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9일(현지시간) 미국 CNBC 등에 따르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 관련 가짜 사진과 동영상이 엑스 상에서 무분별하게 확산되고 있다.

지난 7일 하마스의 기습공격 이후 엑스에는 이스라엘이 가자지구를 공습하는 가짜 콘텐츠나, 시리아 분쟁 영상을 가자지구에서 촬영한 것처럼 조작한 영상이 올라왔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병원으로 이송됐다는 가짜 뉴스가 올라오기도 했다. 해당 글을 게시한 사용자는 이스라엘 매체 '예루살렘포스트'를 모방한 계정으로, 현재 운영 정지됐다.

엑스는 이후 해당 콘텐츠가 허위나 오해 소지가 있는 게시물이라고 표기했지만, CNBC는 자체 분석 결과 동일한 동영상과 설명이 적힌 게시물 수십 개가 '허위' 표시 없이 확산됐다고 지적했다.

머스크 자신도 지난 8일 자신의 계정에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관련) 좋은 콘텐츠를 갖고 있다"며 계정 두 개를 팔로우하라고 추천했다. 모두 지난 5월 미국 펜타곤에서 폭발이 발생했다는 가짜 뉴스를 퍼뜨리는 데 일조한 사용자들이다.

이 중 하나는 과거 반유대주의 게시물을 올린 이력이 있으며, 가자지구 조직원을 '순교자'로 묘사하기도 했다.

이후 머스크는 "양측 입장을 모두 보도하는 게 공정하지만 최대한 정확한 단어를 사용해 달라"며 해당 계정 추천을 철회했다.

[파리=AP/뉴시스]일론 머스크의 엑스(X, 옛 트위터)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 관련 가짜뉴스를 확산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사진은 머스크가 지난 5월 파리 엘리제궁에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회담하기 전 포즈를 취하는 모습.2023.10.10.

[파리=AP/뉴시스]일론 머스크의 엑스(X, 옛 트위터)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 관련 가짜뉴스를 확산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사진은 머스크가 지난 5월 파리 엘리제궁에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회담하기 전 포즈를 취하는 모습.2023.10.10.


머스크가 인수하기 전 트위터는 조작되거나 오해 소지가 있는 정보에 대응하기 위해 상당 자원을 투입했었다.

하지만 머스크 인수 후 엑스는 허위 정보나 선거 대응팀 인원을 감축했다. 외부 기사 링크를 게시할 경우 제목을 제외하고 사진만 보이게 한 점도 일반 사진과 구분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사회적 영향력이 큰 인물이나 기관에 부여하던 '블루 체크' 계정을 일반인도 유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한 점도 허위 정보 확산에 기여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분쟁 관련 유포된 가짜 동영상 일부도 유료 인증 사용자가 작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비영리단체인 네트워크오염연구소의 알렉스 골든버그 수석 정보분석가는 CNBC에 "영어로 된 허위 정보는 우선적으로 처리하지만, 아랍어로 된 정보는 간과되는 경우가 많다"며 "이전 분쟁 때 사진과 동영상이 재활용되고 있다"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