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국내기업 9월까지 52만5천명 뽑는다…작년보다 8.1% 줄어

등록 2024.06.27 12:00:00수정 2024.06.27 14:22: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고용부, 상반기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조사 결과 발표

2~3분기 채용계획 전년 대비 4.6만↓…"인력충원 영향"

4월 실질임금 339만원…'마이너스' 지속하다 1.4% 반등

[인천=뉴시스] 전진환 기자 = 지난 25일 오후 인천 남동구 인천시청에서 열린 2024 인천여성 일자리 한마당에서 구직자들이 채용공고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2024.06.25. amin2@newsis.com

[인천=뉴시스] 전진환 기자 = 지난 25일 오후 인천 남동구 인천시청에서 열린 2024 인천여성 일자리 한마당에서 구직자들이 채용공고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2024.06.25.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고홍주 기자 = 국내 기업들이 올해 2~3분기 채용계획 규모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채용 인원이 늘고 미충원율이 하락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고용노동부가 27일 발표한 '2024년 상반기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1인 이상 종사자 사업체의 올해 2~3분기(4~9월) 채용계획 인원은 52만5000명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만6000명(8.1%) 감소한 수치다.

산업별로 채용계획 인원을 보면 제조업이 11만7000명으로 단연 1위다. 이어 도매 및 소매업(6만2000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6만명), 숙박 및 음식점업(5만1000명) 순이다.

직종별로는 경영·행정·사무직(7만4000명)이 가장 규모가 크고, 영업·판매직(5만2000명), 음식서비스직(5만1000명), 운전·운송직(4만7000명), 기계 설치·정비·생산직(2만9000명) 순으로 집계됐다.

규모별로 채용계획인원을 보면 300인 미만 규모 사업체는 47만9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4만4000명 감소했다. 300인 이상은 4만6000명으로 2000명 감소했다.

고용부는 "부족인원 채용계획 감소는 지난 2021년~2022년에 크게 증가했던 기저효과와 지속적으로 인력충원이 이루어져 미충원이 감소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구인인원은 대외적인 구인활동을 통해 구인한 인원으로, 채용인원을 위해 최초 모집공고 당시 채용하려고 했던 인원을 뜻한다. 채용인원은 최종적으로 채용하기로 했거나 채용한 인원이다.

구인인원은 1분기 143만9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4만7000명) 증가했고 채용인원 역시 132만명으로 7.7%(9만4000명) 증가했다.

이에 따라 1분기 미충원인원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만8000명 감소해 미충원율이 8.3%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 대비 3.7%포인트(p) 감소한 수치다. 주로 운수창고, 제조, 도소매업 등에서 미충원인원이 감소했다.

기업 규모별로 미충원인원을 보면 300인 미만 규모 사업체는 10만8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4만6000명(29.9%) 감소했다. 300인 이상은 1만1000명으로 1000명 감소(11.1%)했다.

미충원 사유는 '임금수준 등 근로조건이 구직자의 기대와 맞지 않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24.5%로 가장 높았다. '사업체에서 요구하는 경력을 갖춘 지원자가 없기 때문'이라는 응답은 22.1%였다.

기업들은 인력부족 해소를 위해 '채용비용 증액 또는 구인방법의 다양화'를 하고 있다는 응답이 60.8%로 가장 높았고, '임금 인상 등 근로조건 개선'을 하고 있다는 응답이 33.7%로 뒤를 이었다.

국내기업 9월까지 52만5천명 뽑는다…작년보다 8.1% 줄어


한편 고용부는 이날 2024년 5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도 함께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5월 마지막 영업일 기준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는 2013만2000명이다. 이는 지난해 5월(1997만명) 대비 16만2000명(0.8%) 증가한 수치다.

지역별로는 대부분 지역에서 지난해 동월 대비 종사자수가 증가했다.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세종(3.6%), 경남(2.3%), 경기(1.6%)순이었다. 서울은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0.4% 감소했다.

4월 기준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 총액은 386만6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370만6000원)보다 4.3% 증가했다.

물가수준을 반영한 실질임금도 339만1000원으로, 전년 동월(334만5000원) 대비 1.4% 증가하면서 계속해서 마이너스를 기록하다 소폭 반등했다.

4월 기준 근로시간은 159.4시간으로, 지난달 153.9시간보다 5.5시간 늘었고 전년 동월(154.6시간)보다도 4.8시간 증가했다.

고용부는 "관공서의 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른 월력상 근로일수가 전년대비 1일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