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해리스·트럼프, 나란히 김정은 언급…"폭군" vs "나랑 친해"[美민주 전대]

등록 2024.08.23 13:59:07수정 2024.08.23 14:03:4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해리스, 대선후보 수락 연설서 "김정은에 알랑대지 않아"

독재자·폭군으로 규정…트럼프는 "잘 지내는게 좋은 일"

원칙론 vs 협상론…대선 결과 따라 대북정책 방향성 갈려

[시카고=AP/뉴시스]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22일(현지시각) 일리노이주 시카고의 유나이티드 센터에서 열린 민주당 전당대회(DNC) 4일차에 대통령 후보 수락 연설을 하고 있다. 해리스 부통령은 당선되면 진보와 보수를 불문, 모든 미국인을 아우르는 '통합의 대통령'이 되겠다고 밝혔다. 2024.08.23.

[시카고=AP/뉴시스]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22일(현지시각) 일리노이주 시카고의 유나이티드 센터에서 열린 민주당 전당대회(DNC) 4일차에 대통령 후보 수락 연설을 하고 있다. 해리스 부통령은 당선되면 진보와 보수를 불문, 모든 미국인을 아우르는 '통합의 대통령'이 되겠다고 밝혔다. 2024.08.23.

[시카고=뉴시스] 이윤희 특파원 = 미국 민주당과 공화당 양당 대권주자들이 똑같이 대선 후보직을 수락하는 연설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언급했다.

다만 예고한 접근 방식은 정반대였는데, 이번 대선 결과에 따라 미국의 대북정책 방향이 완전히 다른 길을 걸을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은 22일(현지시각)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의 유나이티드센터에서 전당대회 대선 후보 수락 연설 중 "나는 트럼프를 응원하고 있는 김정은 같은 독재자, 폭군들에게 알랑대지 않을 것이다"고 힘줘 말했다.

해리스 부통령은 대권가도에 본격적으로 오른 이후 좀처럼 북한이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언급하지 않았는데, 대선 후보로 우뚝서는 순간 김 위원장을 언급한 것이다.

대권 상대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역시 지난달 18일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대선 후보 수락 연설 중 김 위원장 얘기를 꺼냈다.

미국의 두 거대정당 대권주자들이 북한 문제를 미국이 마주한 외교적 과제 중 하나로 이해하고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두 후보가 예고한 접근법은 분명한 차이가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경우 김 위원장과 대화 재개에 방점을 찍었다. 후보 수락 당시 "핵무기를 많이 가진 사람과 잘 지내는 건 좋은 일"이라며 "(백악관으로) 돌아가면 그와 잘 지낼 거다. 그도 내가 돌아와 다시 만나길 바란다"고 말했다.

북한과 협상을 재개하기 위해 김 위원장과의 친분관계를 최대한 활용하겠다는 접근법이다. 인권학대와 도발 행위로 지탄받는 북한 정권의 수장과도 협상을 위해 친교에 나선다는 전제가 깔려있다. 

[밀워키=AP/뉴시스] 미국 공화당 대선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지난달 18일(현지시각) 미국 위스콘신 밀워키에서 열린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2024.08.23.

[밀워키=AP/뉴시스] 미국 공화당 대선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지난달 18일(현지시각) 미국 위스콘신 밀워키에서 열린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2024.08.23.

협상을 목표로 한 만큼 북한의 요구를 어느정도 수용할 수 있다는 관점으로도 해석할 수도 있다.

반면 해리스 부통령은 김 위원장을 폭군, 독재자라고 규정했으며, 트럼프 전 대통령처럼 친분관계를 이용한 접근법을 취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협상이라는 목표를 위해 북한 원칙을 저버리지 않겠다는 관점으로 풀이된다. 실제 그간 민주당 인사들은 트럼프 전 대통령과 김 위원장간 소통을 '러브레터'로 표현하며 비난해왔다.

결국 해리스 부통령이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대북 억제력을 강화하면서 외교적 대화를 촉구하는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 정책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콜린 칼 전 미 국방부 정책차관은 지난 20일  "한반도 비핵화는 여전히 이 행정부의 목표"라면서도 "현실적으로 한반도 전문가들이 비핵화가 임박했다고 단기적으로 바라본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단기적 우선순위는 한국에 대해 동맹을 보호한다는 약속을 분명히하고, 북한 위협을 받는 일본과 같은 동맹국들과도 긴밀히 협력하면서 억지력을 강화하는 것이다"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