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회장, 美 31조원 투자 결단…'관세 리스크' 정면 돌파
정의선 회장, 미국 백악관서 대미 투자 발표
국내 기업 최초로 백악관서 투자 계획 밝혀
현대차그룹, 미국서 120만대 생산 체제 구축
미국 첫 제철소 건립 등 현지 생산 확대
트럼프 관세 위기에 투자로 정면돌파
![[워싱턴=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 시간) 백악관 루스벨트룸에서 한국의 대미 신규 투자를 발표하고 있다. 오른쪽 네번째부터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장재훈 현대차 부회장, 성 김 현대차 사장, 서강현 현대제철 사장 등을 호명하고 있다. 정의선 회장은 향후 4년간 210억 달러(약 30조8175억 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2025.03.25.](https://img1.newsis.com/2025/03/25/NISI20250325_0000205855_web.jpg?rnd=20250325090751)
[워싱턴=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 시간) 백악관 루스벨트룸에서 한국의 대미 신규 투자를 발표하고 있다. 오른쪽 네번째부터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장재훈 현대차 부회장, 성 김 현대차 사장, 서강현 현대제철 사장 등을 호명하고 있다. 정의선 회장은 향후 4년간 210억 달러(약 30조8175억 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2025.03.25.
25일 업계에 따르면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24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에서 "향후 4년 동안 210억 달러(약 31조원)의 (대미) 신규 투자를 발표한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구체적으로 ▲자동차 ▲부품·물류·철강 ▲미래 산업·에너지 부문에 투자를 집행한다.
미국서 120만대 체제 구축
현대차그룹은 2004년 가동을 시작한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36만대)을 시작으로 2010년 기아 조지아 공장(34만대), 올해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30만대)를 완공했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 현재 연간 100만대 규모의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먼저 HMGMA 20만대 증설을 통해 생산 능력을 총 50만대로 확대한다. 또 앨라배마 공장, 조지아 공장 등 기존 공장도 고품질의 신차를 지속 생산할 수 있도록 생산 설비의 현대화, 효율화 등 보완 투자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향후 120만대 생산 체제 기반을 확실히 다진다는 목표다.
미국 첫 전기로 제철소 구축
HMGMA 생산 능력 확대에 맞춰 설비를 증설해 부품 현지화 비율을 높이고, 배터리팩 등 전기차 핵심 부품의 현지 조달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미국 루이지애나 주에 270만 톤 규모의 전기로 제철소를 건설한다. 저탄소 자동차 강판 특화 제철소로, 고품질의 자동차 강판 공급 현지화를 통해 관세 등 불확실한 대외 리스크에 대한 대응력을 높인다. 또한 견고한 철강 수요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해 철강 분야 신성장 동력을 확보할 전망이다.
자율주행 등 미래 산업에도 63억 달러 투자
자율주행, 로봇, 인공지능(AI) 등 미래 신기술과 관련된 미국 유수의 기업과 협력을 확대하고 현대차그룹 미국 현지 법인인 보스턴다이나믹스, 슈퍼널, 모셔널의 사업화에 속도를 낸다.
실제 현대차그룹은 미국의 대표적인 혁신 기업들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엔비디아와는 SDV(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로보틱스 등 핵심 모빌리티 솔루션을 지능화하고 사업 운영 전반에 걸쳐 AI 기술 적용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미국 자율주행 업체 웨이모와는 미국 HMGMA 생산하는 아이오닉 5를 활용해 자율주행 택시 서비스(웨이모 원) 확대에 힘을 모으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미래 기술 관련 유망한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선제적 투자를 집행할 계획이다. 또한 미국에서 원자력, 재생에너지 분야 투자와 함께 전기차 충전소 확충에도 힘을 보탤 방침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hun88@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