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까지 번진 산불에 고택과 측백나무숲 소실
유산피해 총 15건
![[의성=뉴시스] 김금보 기자 = 26일 대형 산불로 전소 피해를 입은 경북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 일대에 사찰 잔해만 남아있다. 이번 산불로 고운사 보물인 연수전과 가운루를 비롯해 연지암, 해우소, 정묵당, 아거각, 약사전, 연수전, 고운대암, 극락전, 만덕당, 종무소가 불탔다. 2025.03.26. kgb@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3/26/NISI20250326_0020747779_web.jpg?rnd=20250326123831)
[의성=뉴시스] 김금보 기자 = 26일 대형 산불로 전소 피해를 입은 경북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 일대에 사찰 잔해만 남아있다. 이번 산불로 고운사 보물인 연수전과 가운루를 비롯해 연지암, 해우소, 정묵당, 아거각, 약사전, 연수전, 고운대암, 극락전, 만덕당, 종무소가 불탔다. 2025.03.26. kgb@newsis.com
[서울=뉴시스] 이수지 기자 = 전국으로 확산하는 대형 산불에 국가유산 피해도 커지고 있다.
국가유산청이 26일 공개한 '산불 관련 국가유산 피해 현황에 따르면 최근 발생한 산불로 국가유산 피해는 모두 15건이다.
지난 22일부터 전날까지 8건이었던 피해건수가 하루 만에 7건이나 증가했다.
이중 국가지정 문화유산이 보물 2건, 명승 3건, 천연기념물 3건, 국가민속문화유산 3건 등 11건이다. 시도지정 국가유윤산은 유형문화유산 1건, 기념물 1건, 문화유산자료 2건 등 모두 4건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북 의성에서 2건, 안동에서 3건, 청송에서 4건, 울산 울주에서 2건, 기타 지역에서 4건이 발생했다. 대부분 피해가 경북에 집중됐다.
![[서울=뉴시스] 안동 백운정 및 개호송 숲 일원 산불 피해 (사진=국가유산청 제공) 2025.03.27. photo@newsis.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3/27/NISI20250327_0001801830_web.jpg?rnd=20250327075435)
[서울=뉴시스] 안동 백운정 및 개호송 숲 일원 산불 피해 (사진=국가유산청 제공) 2025.03.27. photo@newsis.om *재판매 및 DB 금지
이날 추가로 확인된 산불 피해는 고택과 숲에서 발생했다.
청송에서는 민속문화유산인 사남고택은 전체가 불에 탔다.
민속문화유산 송소 고택과 서벽고택은 일부에서만 피해가 발생했다. 송소 고택 내 별당 협문 일부가 불에 탔고 화장실은 전소됐다. 서벽고택의 안채 배면 하방과 기둥이 불에 그을렸다.
안동에서는 나무들이 화마를 피하지 못했다. 명승 만휴정의 원림 중 전면에 있는 소나무 숲은 일부가 불에 탔고. 천연기념물 안동 구리 측백나무 숲에서 0.1ha가 소실됐다.
천연기념물 영양 답곡리 만지송, 명승 안동 백운정과 개호송 숲 일원도 피해를 입었다.
![[서울=뉴시스] 만휴정 잔불 예방 살수 (사진=국가유산청 제공) 2025.03.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3/27/NISI20250327_0001801831_web.jpg?rnd=20250327075629)
[서울=뉴시스] 만휴정 잔불 예방 살수 (사진=국가유산청 제공) 2025.03.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국가유산청은 이날 국가유산 현장에 750여명을 투입해 긴급조치를 하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산불 피해 예방을 위해 안동 봉정사 등 사찰에 있는 유물들을 안전한 곳으로 옮기고 봉정사 극락전 등 주요 국보·보물에는 방염포를 씌웠다. 안동 하회마을에서는 예방 살수 작업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산불 위험으로부터 국가유산 보호를 위해 예방 살수, 방염포 설치, 유물 긴급 이송 등 긴급조치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suejeeq@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