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연구원, 에듀테크 R&D 랩 등 실증 기반 연구 본격화
![[수원=뉴시스] 경기도교육연구원 전경. 2021.12.15. (사진=경기도교육연구원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1/12/15/NISI20211215_0000892892_web.jpg?rnd=20211215134840)
[수원=뉴시스] 경기도교육연구원 전경. 2021.12.15. (사진=경기도교육연구원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수원=뉴시스] 박종대 기자 = 경기도교육연구원이 교육정책 연구의 패러다임을 바꾼다. 연구실 중심의 이론 연구를 넘어 실제 학교 현장에서 실험하고 검증하는 '실증 기반 연구'에 속도를 내겠다는 것이다.
경기도교육연구원은 27일 경기도교육청 출입기자단을 대상으로 간담회를 열고 올해 주요 정책 방향과 연구 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올해 슬로건은 '증거 기반의 교육정책 지원 전문기관'으로, 정책 수요에 맞춘 실효성 있는 연구 추진이 핵심이다.
연구원은 총 69건의 연구 과제를 수행하고, 외부 전문가 평가단과 성과 관리 체계를 통해 질적 완성도를 높인다. 특히 연구 성과가 정책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현장 실험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대표적인 사업으로는 ▲경기북부 회천중학교에 설치된 '에듀테크 R&D 랩' 운영 ▲기초학력지원센터 중심의 진단·컨설팅 확대 ▲AI 기반 서술형 평가 실증 연구 등이 포함됐다. 연구원은 고교 성취평가제 정착을 위해 전국 시도교육청 최초로 경기평가관리센터도 올해부터 별도로 운영한다.
이와 함께 교사·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포럼과 연구 결과 공유도 강화된다. 오는 4월3일 회천중 에듀테크 랩에서 열리는 '2025 경기 에듀테크 R&D 포럼'에서는 실제 실증사례 발표와 AI 기반 교육 솔루션 체험 부스도 운영할 예정이다.
연구 결과는 정기 콘텐츠 발간과 온라인 소통으로 이어진다. 웹진 '경기교육e음'은 연 4회 발간되고, 교육데이터 분석 리포트 '교육데이터 인사이트'는 자율성·디지털 전환·행정 효율화 등 현장 이슈를 중심으로 제공한다. 교직원 대상 웨비나 '이음토크'도 운영한다.
연구원은 지난해 ▲기초학력정책 포럼 ▲소외지역 맞춤형 컨설팅 ▲에듀테크 공모전 ▲교육데이터 인사이트 서비스 등 주요 사업을 통해 총 1만 회 이상의 콘텐츠 누적 조회 수를 기록하는 등 가시적 성과도 쌓았다.
김진숙 원장은 "정책 수요 기반의 실증적 연구를 통해 경기교육의 방향성을 설계하고 현장 중심의 교육 혁신을 지원하는 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pjd@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