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카카오뱅크 비켜"…제4인뱅 금융시장 '메기'될까?

등록 2025.03.28 07:00:00수정 2025.03.28 07:30:2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제4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4파전' 돌입

대주주 자본력, 사업 혁신성 등 당락 가를듯

[서울=뉴시스]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 3사.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 3사.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조현아 기자 = 국내 네 번째 인터넷전문은행(인뱅)을 출범을 위한 금융당국의 인가전이 본격적으로 막을 올렸다. 한국소호은행을 비롯해 컨소시엄 총 4곳이 예비인가 신청서를 제출하면서 인가전은 '4파전'으로 치러지게 됐다. 새로 탄생할 인뱅이 금융시장에 '메기효과'를 불러 일으킬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지난 25~26일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신청서를 제출한 4개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심사에 착수한다. 민간 외부평가위원회 심사를 비롯해 금융감독원의 심사를 거쳐 오는 6월 중 인터넷은행의 예비인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번 인가전에 뛰어든 곳은 '소소뱅크', '포도뱅크', '한국소호은행', 'AMZ뱅크' 등 4곳이다. 가장 유력한 후보로 점쳐지는 곳은 소호은행이다. 한국신용데이터(KCD)가 주축인 소호은행엔 우리·NH농협·하나은행 등 3개 시중은행이 주주로 참여한다

또 BNK부산은행, 흥국생명·흥국화재, 유진투자증권, 우리카드, OK저축은행 등 지방은행과 보험사, 증권사, 카드사 등도 참여한다. LG CNS와 아이센엔텍, 티시스, 메가존클라우드 등 IT 혁신기업과 일진 등도 이름을 올렸다. KCD는 전국 170만명의 소상공인에 경영관리 서비스 '캐시노트'를 제공하는 업체로, '소상공인을 위한 첫번째 은행'을 내세우고 있다.

소상공인 단체가 주축인 소소뱅크는 소상공인전국연합회(소액주주 연합), 리드코프, 신라젠, 경남은행, 마이다스에셋자산운용, 다날 등이 참여한다. '재외동포 특화 은행'을 표방하는 포도뱅크는 세계한인상공인총연합회(한상)을 비롯해 메리츠증권, 메리츠홰재, 군인공제회, 이수그룹 등이 함께한다. 농업인과 MZ세대를 위한 은행을 표방하는 AMZ뱅크는 추후 주주구성 현황을 확정하기로 했다.



현재까진 소호은행 1강 체제가 굳어지는 분위기지만, 실제 인가 여부는 장담할 수 없다는 전망이 나온다. 인뱅 인가 여부가 '절대 평가'로 결정되는 만큼 기준에 미달되는 항목이 없어야 통과가 가능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실제 토스뱅크는 지난 2019년 5월 첫 예비인가 신청 당시 자금조달 능력 우려 등으로 한 차례 고배를 마신 바 있다.
 
금융당국은 대주주의 자금조달 능력과 사업계획의 혁신성을 중점적으로 평가해 당락을 가른다는 방침이다. 현행법상 최저 자본금은 250억원이지만 기존 인터넷은행의 초기 자본금을 감안할 때 3000억원 이상의 자본력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1호 인뱅인 케이뱅크는 2500억원, 카카오뱅크는 3000억원, 토스뱅크는 2500억원의 초기 자본금으로 출범한 바 있다. 이번 인터넷은행 예비인가의 '주요 평가 항목 및 배점'에 따르면 자본금·자금조달방안 항목의 배점은 150점으로 앞선 인가 때보다 50점 높아졌다.

금융권에서는 제4 인뱅이 또 한 번의 '메기효과'로 금융시장을 흔들 수 있을 지 주목하고 있다. 인터넷은행은 편리한 비대면 서비스 제공을 통해 은행간 경쟁을 촉진시켜 금융 소비자들의 편의성을 한층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다만 인터넷은행들이 당초 설립 목적이던 중금리 대출 활성화 대신 주택담보대출 위주의 수익 구조에 치우치면서 포용성·혁신성 측면에선 미흡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이번 예비인가에선 서민금융 지원과 중금리 대출 공급 등을 평가하는 '포용성 항목'의 점수가 직전 150점에서 200점으로 올라갔다. 

결국 제4 인뱅이 시중은행이나 기존 인뱅들과 얼마나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느냐가 인가 여부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중소기업·소상공인 특화 등 기존 인뱅에서 소홀했던 영역에 도전장을 내민 것을 볼 때 제4 인뱅이 나오면 분명 업계 내 경쟁을 불러일으킬 것"이라며 "실현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평가는 엄밀하게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acho@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