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공항, 짧은활주로·콘크리트 로컬라이저 '위험천만'[아슬아슬 지방공항①]
활주로 2100m로 짧고, 5년간 조류충돌 12건
4m 흙 둔덕속 콘크리트 재질의 로컬라이저
[여수=뉴시스] 여수공항 활주로 끝에 설치된 로컬라이저(착륙유도장치). (뉴시스DB)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태국발 무안행 제주항공 여객기가 지난해 12월29일 오전 무안국제공항 착륙 중 화재로 탑승자 181명 가운데 179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여객기가 동체 착륙을 시도하던 중 충돌한 로컬라이저(착륙 유도 장치)가 콘크리트 재질로 드러나면서 참사를 키웠다는 지적이 일었다.
전남 동부권에 자리한 여수공항도 무안공항과 비슷한 '콘크리트 로컬라이저'가 설치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여수공항 남쪽 로컬라이저를 지탱하는 4m 높이의 흙 둔덕 내에 콘크리트 구조물이 매립돼 있다. 흙 둔덕 위로는 2m 높이의 착륙 유도장치가 안테나처럼 설치돼 있다.
한국공항공사 관계자는 여수공항 둔덕에 대해 "지반이 불안정해 로컬라이저 위치가 흔들릴까 봐 콘크리트 구조물로 만들었다"고 했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무안국제공항과 여수공항, 광주공항 등 비슷한 실정이다.
활주로 끝에서 로컬라이저까지 거리는 국내외 권고 기준 300m며, 여수공항 등 일부 공항은 300m 이내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형 여건상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데다 권고 기준이기 때문에 보다 명확한 규정 정리가 절실하다.
일부에서는 항공기 착륙 중 충돌에 따라 대형 사고로 이어진 무안국제공항의 로컬라이저 콘크리트 구조물 사례로 볼 때 단단한 콘크리트 구조물보다는 깨지기 쉬운 재질로 설치해 항공기 충돌에도 대비할 필요성 있다고 주장했다.
한 공항 전문가는 "여수공항의 로컬라이저 구조물 등 항행안전시설이 규정 맞게 설치됐는지를 확인하고 문제점이 드러날 경우 시급히 안전성을 높인 국제 규격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여수공항은 콘크리트 로컬라이저 외에도 짧은 활주로와 버드스트라이크 등이 우려감을 주고 있다.
국내선 여객기가 이착륙하는 여수공항의 활주로는 2100m로 군산공항 2700m, 포항공항 2500m에 비해 짧은 편이다.
[여수=뉴시스] 여수공항. (뉴시스DB)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여수공항 활주로는 애초 길이 1550m, 너비 30m에 불과했으나 지난 2005년 11년간의 제1 단계 확장공사가 끝나면서 길이 2100m, 너비 45m로 준공됐다.
국제공항 승격을 위해 활주로를 2800m로 연장할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됐으나, 현재까지 공사는 진행되지 않고 김포와 제주 등 국내선 위주의 여객 수송이 이뤄지고 있다
여수상공회의소 등은 대규모 석유화학 공장이 밀집한 국가산단 지역의 공항 활성화 및 이용률 증대를 위해 활주로 확장이 절실하다는 건의서를 해마다 정부 부처에 보내기도 했다.
여수공항에서는 최근 5년간 12건의 버드스트라이크(조류충돌사고)가 발생해 새 떼로 인한 위험성도 있다.
여수상공회의소 관계자는 "제주항공 사고를 계기로 여수공항도 활주로, 로컬라이저 등 전반적인 점검이 시급한 실정이며, 항공기가 동체 착륙, 이탈 등을 고려해 국제 규격에 맞는 안전시설이 설치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