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바이든 '아시아 차르'에 대중 강경론자 캠벨 내정(종합)

등록 2021.01.13 18:04:06수정 2021.01.13 18:05:5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백악관 NSC 산하 아시아 업무 총괄

對中 정책 집중…무역·인권 등 압박 예고

"중국 견제 위해 동맹 강화" 주장도

대북 문제도 관여…한국서 수교훈장 받기도

바이든 '아시아 차르'에 대중 강경론자 캠벨 내정(종합)

[서울=뉴시스] 신정원 기자 = 오는 20일 취임을 앞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아시아 차르'에 커트 캠벨 전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를 내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든 당선인은 캠벨 전 차관보를 아시아 지역 업무를 총괄하는 '아시아 차르'로 지명할 예정이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3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아시아 차르는 바이든 행정부의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산하에 신설하는 직책이다. 차르는 러시아어로 황제를 뜻한다.

아시아 지역 업무를 총괄하지만 주로 대중 정책에 집중하는 자리로 알려졌다.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동맹국 간 결속을 강화하고 경제·인권 분야에서 중국을 압박하는 역할이다.

당초 '중국 차르'라는 이름의 직책도 검토됐지만 '아시아 차르'로 선회한 것으로 전해졌다.

캠벨 전 차관보는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 동아태 차관보를 지낸 베테랑 외교 정책 전문가다. 2009년 6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재임했다. 지금은 2013년 2월 설립한 아시아그룹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를 맡고 있다.

2007년 1월 출범한 국가안보 싱크탱크인 '신미국안보센터'(CNAS)를 공동 창립하기도 했다. '애스펀전략그룹'(ASG)의 이사 및 회장 등도 역임했다.

캠벨 전 차관보를 발탁한 것은 미·중 관계를 고려한 조치로 보인다.

소식통은 캠벨 전 차관보를 발탁한 이유 중 하나는 아시아 지역 베테랑 전문가가 미 정부기관마다 다른 대중 정책을 잘 통합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바이든 당선인은 외교, 국방, 경제 뿐만 아니라 모든 정부 기관이 중국과 더 많은 문제로 씨름해야 할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바이든 당선인은 홍콩 민주화 시위에 대한 중국 정부의 탄압에 대응하는 것부터 무역 정책에 이르기까지 중국과 관련해 다양한 과제를 떠안았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임기 마지막까지 취한 대중 강경 조치를 유지할 지도 선택해야 한다고 FT는 지적했다.

일본 정책 입안자들과 가까운 캠벨 전 차관보는 대중 강경론자로 꼽힌다.

2년 전 미 외교정책 전문지 '포린 어페어스'(Foreign Affairs) 기고문에선 미국이 중국의 진로를 잘못 예측했다면서 대중 정책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리처드 닉슨 전 대통령이 화해의 첫 발을 내디딘 지 거의 반 세기 만에 미국이 중국의 궤적을 설정할 수 있는 힘을 가졌다고 지나치게 신뢰했다는 것이 분명해진다"고 했다. 이 글은 바이든 당선인이 부통령일 때 국가안보 부보좌관이었던 엘리 래트너와 함께 썼다. 래트너 역시 대중 매파로 분류된다.

이달 또 다른 글에선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인도·태평양 지역 동맹 강화의 필요성을 역설하기도 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아시아 정책이 동맹에 큰 부담을 줬다고 비판하는 입장이다.

그는 북한 문제에도 정통한 것으로 평가 받는다.

지난달 미 싱크탱크 애틀랜틱카운슬의 화상 행사에선 바이든 행정부에 대북정책 기조를 정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조언했다.

그는 당시 "바이든 행정부는 북한에 대해 빠른 결정을 내려야 한다"면서 "오바마 행정부가 결정에 시간을 끄는 동안 북한이 도발을 했고 북한에 관여할 가능성을 잃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바이든 행정부가 외교 정책에서 대북 문제를 우선 순위에 올리고 한·미 간 논의를 통해 북한에 먼저 메시지를 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차관보 재임 기간 중 한·미 전략적 소통과 북핵·북한 문제 관련 정책 공조 강화 등에 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 받아 2014년 한국에서 수교훈장인 광화장을 수훈하기도 했다.

캠벨 전 차관보는 바이든 행정부의 초대 국무장관으로 내정된 앤서니 블링컨 전 국무부 부장관 및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지명자와도 친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