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6.25 전쟁으로 3살때 헤어진 누나, 70대 되어 만났다(영상)

등록 2024.06.27 19:25:17수정 2024.06.28 09:17:4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 6·25 전쟁 때 부모님을 잃어버린 후 헤어졌던 남매가 56년 만에 극적으로 상봉한 감동적인 사연이 공개됐다. (사진= 서울경찰 유튜브 채널 캡처)

[서울=뉴시스] 6·25 전쟁 때 부모님을 잃어버린 후 헤어졌던 남매가 56년 만에 극적으로 상봉한 감동적인 사연이 공개됐다. (사진= 서울경찰 유튜브 채널 캡처)



[서울=뉴시스] 최윤서 인턴 기자 = 6·25 전쟁 때 부모님을 잃어버린 후 헤어졌던 남매가 56년 만에 극적으로 상봉한 감동적인 사연이 공개됐다.

지난 25일 서울경찰 공식 유튜브 채널에 ‘6·25 전쟁 미아가 된 남매, 56년 만의 아름다운 상봉’이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다.

영상에 따르면, 지난 4월 중순경 70대 김 모씨는 “6·25 전쟁 당시 헤어진 누나를 찾고 싶다”며 서울 서부경찰서를 찾아왔다. 당시 김씨는 3세, 누나는 15세였다고 한다.

철원에서 아버지와 함께 살다 전쟁으로 아버지를 잃고 미아가 된 남매는 유엔(UN)군에게 구조되면서 서울의 한 보육원에 맡겨졌다. 이후 남동생인 김씨만 입양되면서 두 사람은 이별하게 됐다.

그로부터 16년 후 김씨가 입양된 집으로 누나가 찾아왔다. 김씨는 당시 스치듯 누나의 얼굴을 본 것을 마지막으로 다시 헤어졌고 그 후 56년이 지났다고 했다.

김씨의 사연을 접한 서울서부경찰서 여수민 경사는 영상을 통해 “김 씨의 사연을 듣는데 너무 안타깝고 꼭 찾아드리고 싶다고 생각했다”고 전했다.

헤어질 당시 김씨는 3세, 누나는 15세였기에 누나가 김씨보다 12살이 많다면 현재 누나의 나이는 87세다. 여 경사는 “당시에는 호적이 분명하게 등록되지 않았을 수 있을 시기여서 아래위로 한 살씩 더 보태 1936년생부터 1938년생까지 3년 범위를 추적했다”고 설명했다. 그 결과 126명의 대상자가 나왔고, 사망자를 제외하니 77명으로 압축됐다. 여 경사는 전국 65개 경찰서에 협조를 의뢰했다.

[서울=뉴시스] (사진= 유튜브 서울경찰 공식 채널)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사진= 유튜브 서울경찰 공식 채널) *재판매 및 DB 금지



한 달 여간 김씨 누나로 추정되는 이들을 일일이 찾던 그때, 여 경사는 협조 요청 후 아직 회신이 오지 않은 경찰서에 전화해 확인하던 중 김씨와 헤어진 거주지가 일치하는 대상자를 찾았다.

이에 경찰은 헤어진 사연, 헤어지고 나서 서울 어느 지역 보육원에 있었는지, 살아 생전 부모님 성함 등 10가지 질문을 준비해 확인 작업을 거쳤다.

그 결과 10가지 질문에 대한 답변이 김씨와 모두 일치한 그 사람을 김씨 누나라고 확정했다. 결국 두 사람은 지난 11일 헤어진 지 56년 만에 재회했다.

80대가 된 누나는 김씨를 보자마자 부둥켜안고 “그동안 어떻게 살았냐”며 눈물을 터뜨렸다. 김씨는 “잘 살았어요 누나”라고 답하며 누나의 손을 꼭 잡았다.

김씨는 “이산가족 만남 프로그램을 많이 봤다”며 “‘나는 신청할 수 없는 한계가 있구나’ 싶어서 부러웠지만 어떻게 할 수 있는 게 없었다”고 했다. 현재 정부에서 시행 중인 ‘이산가족 찾기’ 신청자는 6·25 전쟁을 전후해 북한에 있는 가족과 헤어진 이들을 대상으로 한다.

그는 이어 “체념하고 있다가 경찰서에 ‘헤어진 가족 찾아주기’를 신청했다”며 “한두 달 걸린다기에 두 달이든 그 이상이든 괜찮다고 했는데 바로 얼마 후에 연락이 왔고 누나를 찾았다. 너무 감사하다. 진짜 감사합니다”라며 연신 감사를 전했다.

서울서부경찰서 여수민 경사는 영상을 통해 “오랫동안 헤어져 계셨던 시간만큼 앞으로 서로 유년 시절의 추억을 많이 나누면서 건강하셨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경찰의 ‘헤어진 가족 찾아주기’는 6·25전쟁이나 유아 시절 유기, 혹은 해외 입양 등 불가항력적인 사유로 헤어진 가족을 경찰 전산망 등을 활용해 찾아주는 민원 시스템이다. 전국 경찰청과 경찰서 등에 방문해 접수할 수 있다. 인터넷 신청은 불가능하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