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경남도-교육청, 지방소멸 극복 '로컬유학 교육발전특구' 도전

등록 2024.06.27 17:41:4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의령·창녕·함양·거창 4개 군 묶어 3유형으로 신청

통영·함안·남해 등 6개 시·군은 1유형(단독)으로

 *재판매 및 DB 금지

[창원=뉴시스] 홍정명 기자 = 경남도는 교육부 공모사업인 '2차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신청을 위한 경남 로컬유학 교육발전특구(3유형) 기획안'을 28일 경남도교육청과 공동으로 제출한다고 27일 밝혔다.

경남 로컬유학 교육발전특구는 도내에서 인구소멸 위기가 가장 높은 서북부권 의령, 창녕, 함양, 거창 4개군을 묶어 1인 1예술, 스포츠 특화교육을 통해 도시지역 로컬유학 인구를 유입하고 주거공간 마련, 이주 정착 지원으로 로컬유학 선도 모델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뒀다.

또 1차 특구 지정지역을 제외한 통영(문화예술특구), 함안(스마트팜 미래인재양성특구), 남해(초등 스포츠 특화특구), 하동(전주기 교육환경구축), 산청(산청형 돌봄모델), 합천(거점 특기생 양성특구) 6개 시·군은 1유형(단독)으로 신청했다. 

이번에 제출한 기획안에는 지역특화 공교육 혁신 지원, 캠퍼스형 공동학교, 정주여건 강화를 담았다.

먼저 지역특화 공교육 혁신을 위해 자율형 공립고, 협약형 특성화고, 소방마이스터고 추진으로 지역별로 고교를 특성화하고, 현재 농어촌 자율학교 우수 수업모델도 의령·창녕·함양·거창 4개군 간 공유·확산하며, 초중고생 해외탐방을 추진한다.

또 4개 군과 연계해 지역 내 캠퍼스형 공동학교(거점 돌봄체계) 체계를 구축하고, 방과 후 강사 지원, 합동 수업 실시, 축구 정기교류전, 독서토론대회 개최, 그리고 생태환경·선비의병·인공지능 등 지역별 특화 공유교육을 추진한다.

정주여건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 산업단지와 연계한 취업·창업 지원, 청년 거점공간조성 등 문화공간 조성, 임대 주택 등 주거 지원과 의료 지원을 강화한다.

지난 2월 말 지정된 경남 1차 특구와도 기업 산업체험, 대학연계 진로체험, 방산, 승강기 기술분야 고교-전문대학 연계(3+2)과정을 추진하여 1차·2차 특구를 연계해 운영할 계획이다.

경남도는 2차 교육발전특구 지정을 위해 그간 시·군별 모델안 컨설팅, 시·군별 기획서 작성 등을 지원해 왔다.

윤인국 경남도 교육청년국장은 "2차 교육발전특구는 도내 지역소멸위기가 가장 심각한 지역을 교육발전특구로 지정해 지방소멸에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면서 "이번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을 통해 경남 서부권의 인구 유입과 지역특화를 통한 지방소멸 극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1차 특구는 5월 말 운영계획서를 교육부에 제출했으며, 교육부 교육발전특구위원회 심의 후 하반기부터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교육부 공모사업인 교육발전특구는 정부의 지방시대 구현을 위한 핵심 정책으로, 지자체와 교육청이 대학, 산업체, 공공기관 등 지역 기관과 협력해 지역 인재들이 지역에서 좋은 교육을 받고 행복하게 정주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지역 살리기 정책이다.

특구에 지정되면 3년간 매년 특별교부금 30억원에서 100억원 지원과 더불어 지역 특성에 맞는 특례 혜택이 주어진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