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미국 먼저 진출하는 현대제철…포스코도 투자 고심

등록 2025.03.27 07:00:00수정 2025.03.27 07:32: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 전경.(사진=포스코홀딩스) 2024.07.1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 전경.(사진=포스코홀딩스) 2024.07.1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류인선 기자 = 현대차그룹이 미국에 8조원 규모의 제철소 투자를 결정하면서 포스코그룹의 미국 투자 전략이 주목된다. 포스코는 미국과 협력이 필요하다는 큰 틀에선 공감하고 있지만, 세부 투자 방식을 놓고 고민이 커지고 있다는 진단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그룹은 미국 통상 정책 대응 전략을 위해 현지 제철소 진출과 액화천연가스(LNG) 투자 등 다방면의 협력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장인화 회장은 최근 회장 직속으로 글로벌통상정책팀을 신설했다. 이 팀은 급변하는 국내외 통상환경 및 정책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는 조직이다.

주인도한국대사관 공사참사관, 외교통상부 다자통상국 통상전략과장 등을 역임한 김경한 부사장이 팀장을 맡는다. 그는 커뮤니케이션 본부장을 맡아 사내·외 홍보, 대관, 무역·통상 업무를 총괄했지만, 통상 대응에만 전념하기로 했다.

이는 유행처럼 번지는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그룹 차원의 역량을 집중하는 차원이다. 미국의 25% 관세, 유럽연합의 수입량 15% 축소, 인도의 200일 관세 부과가 대표적이다.



포스코가 미국과 협력할 대표적인 사업이 LNG 벨류체인이다.

포스코그룹에서 LNG사업을 맡은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알래스카 LNG 사업에 참여할 주력 회사로 거론된다. 최근 방한한 마이크 던리비 미국 알래스카 주지사도 국내 기업인들과 LNG프로젝트를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017년 국내 최초로 LNG트레이딩 사업을 시작했고, 전남 광양에 93만㎘ 규모의 LNG탱크를 운영 중이다. LNG벙커링, LNG선박 시운전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면서 미국산 추가 수입 가능성도 있다.

LNG 개발 사업에 필요한 철강 제품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협력할 수도 있다. 포스코도 스테인리스 강관, 고망간강 강관 등을 중심으로 LNG 사업 참여를 기대하고 있다. 세아제강도 비슷한 이유로 던리비 주지사와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던리비 주지사는 지난 25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만나 " 방한을 계기로 한국과 알래스카 LNG 개발 등 에너지 협력 지속 발전을 위한 생산적인 논의가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현대제철과 유사하게 미국에서 쇳물을 생산하는 상공정 진출 가능성도 있다. 포스코그룹은 현지 제철소 운영 시 사업성을 지속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그룹이 대규모 투자로 미국과 협상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기 때문에, 포스코도 그룹 차원에서 역량을 모아 투자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ryu@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