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日 경제보복에 "국가간 문제…말 한마디가 조심스러워"
"국무회의에서 日 경제보복 논의 없었다"
"판문점 회동, 용어 규정은 조심스러워"

【서울=뉴시스】전신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2일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19.07.02. photo1006@newsis.com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 같이 말한 뒤 "국가 간 문제이기에 더더욱 그렇다"고 했다.
현재 청와대는 이번 사태와 관련 대응 창구를 산업통상자원부로 일원화한 상태다.
이 핵심 관계자는 "앞으로 수입산 다변화, 국내 생산설비 확충, 국산화 개발이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싶다"며 "앞으로 방안과 관련한 입장 발표 등은 산업통상자원부를 통해 나가게 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어떤 대책을 내놓을지는 조금 더 지켜봐 달라"며 "지금 단계에서 말씀드릴 내용은 없다"고 덧붙였다.
또 일본 측에서 이번 수출 규제 원인과 관련 우리 정부의 강제징용 판결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것에 대한 청와대 입장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언론의 해석에 대해 일본 정부 공식 입장처럼 가정해서 말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답했다.
아울러 이날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한 국무회의에서도 관련된 논의는 없었다고 전했다.
한편, 지난달 판문점 남북미 회동과 관련한 성격을 묻는 질문에 대해 "북미 정상 간 만남이 짧은 인사와 조우가 아니라 50분 정도였다"며 "이것이 회동인지, 회담인지 저희가 규정하는 것은 조금 조심스럽다"고 했다. 북미간 결정해야될 사안인 만큼 청와대가 먼저 용어 정리를 할 수 없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이 이날 국무회의에서 북미 정상간 판문점 회동에 대해 "사실상의 행동으로 적대관계의 종식과 새로운 평화시대의 본격적인 시작을 선언했다"고 말한 것과 관련 사실상의 '종전선언'을 의미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 "형식을 담고 있는 협정이나 선언에 대해선 청와대에서 규정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라고 했다.
rediu@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