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스마트폰에 빠진 청년들…"젊은 남성, 과거보다 주당 4.6시간 덜 일해"

등록 2024.06.28 12:00:00수정 2024.06.28 14:26: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컴퓨터 관련 여가와 노동 공급-BOK이슈노트

[서울=뉴시스] 코로나19 여파로 학교 수업이 온라인 화상으로 진행되면서 아이들이 집에서 스마트폰 게임과 유튜브 동영상에 빠지기 쉬워 난독증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 세브란스병원 제공) 2021.04.02

[서울=뉴시스] 코로나19 여파로 학교 수업이 온라인 화상으로 진행되면서 아이들이 집에서 스마트폰 게임과 유튜브 동영상에 빠지기 쉬워 난독증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 세브란스병원 제공) 2021.04.02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와 게임 등 스마트폰와 컴퓨터 등의 활용이 늘면서 남성 청년층이 과거에 비해 주당 4.6시간 덜 일한다는 조사 결과 나왔다.

급속한 고령화에 따라 노동 공급 감소가 가팔라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노동 생산성을 꾸준히 높여야 한다는 제언이다.

28일 한국은행은 '컴퓨터 관련 여가와 노동 공급-BOK이슈노트'를 발간했다. 작성자는 조사국 고용분석팀 조강철 차장과 이하민 조사역이다.

저자들이 1999~2019년 중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주 5일 근무제와 52시간 근무제 도입 등에 따라 국민들의 근로시간이 감소하고 여가 시간이 증가했다.

여가 시간은 수면, 식사 등의 필수 여가와 컴퓨터 관련 여가를 중심으로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컴퓨터 관련 여가는 IT 기기 성능 향상과 관련 콘텐츠 급증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됐다.

여기서 컴퓨터 여가 관련은 문자외 메일 서비스 이용 및 사회관계망(SNS), 유튜브 활용과 온라인 게임 등이 포함된다.

여가엥겔곡선을 통해 추정한 결과 모든 인구집단에서 컴퓨터 관련 여가활동 탄력성이 1보다 컸다. 총 여가 시간이 늘어날 때 컴퓨터 관련 여가활동의 증가폭보다 더 크게 늘어났다는 의미이다.

이에 따라 저자들은  IT 기술 발전은 컴퓨터·휴대폰 성능 향상 등을 통해 더욱 긴 시간을 컴퓨터 관련 여가활동에 사용하게 함으로써 노동 공급을 감소시킨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특히 청년층의 경우 컴퓨터 관련 여가 시간 증가로 남성 및 여성의 노동 공급이 각각 10.7%,  6.3% 감소했는데, 남성 및 여성 청년층 근로시간 감소분의 68.7% 및 99.2%에 해당한다.

세부적으로 1999년부터 2019년까지 남성 청년의 총 근로시간은 주당 6.7시간 감소한 가운데 기술발전 영향으로 줄어든 근로시간은 주당 4.6시간인 것으로 분석됐다.

남성 중장년의 주당 총근로시간은 4.6시간 줄었는데 기술발전 영향은 2.1시간으로 풀이됐다. 여성 청년 총 1.5시간 줄었는데 이중 기술발전 영향은 1.4%로 추정됐다.

저자들은  IT 기술 혁신은 청년층 노동 공급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짚었다. 특히 나이가 들어서도 비슷한 행태를 보일 경우 중장년층 노동 공급에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여가 시간의 증가는 근로자의 건강 상태 개선, 효율적 업무문화 정착 등을 통해 노동생산성을 높여 IT 기술 발전으로 인한 노동 공급 감소 영향을 일부 상쇄하는 효과가 있다고도 봤다.

조 차장은 "게임과 넷플릭스 등은 절대 시간이 필요하다"면서 "기술 발전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신 시간을 뺏기는 측면이 있다는 점에서 노동 공급에 들어가는 시간이 줄어든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