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여성 "결혼 생각 없어" 27%…"아이 낳을 생각 없어" 53%

등록 2024.09.01 09:00:00수정 2024.09.01 09:32: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2000명 인식 조사

27.4%는 결혼, 42.6%는 출산할 의향 없어

44.1%는 정책·지원 확대되면 "출산하겠다"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지난 4월24일 서울 시내의 한 산후조리원 신생아실 모습. 2024.04.24. xconfind@newsis.com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지난 4월24일 서울 시내의 한 산후조리원 신생아실 모습. 2024.04.2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구무서 기자 = 결혼과 출산 의향을 묻는 설문조사에서 여성 절반 이상이 출산 의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에 대한 필요성과 양육 부담 등이 주요 이유로 꼽혔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한미연)은 리서치 업체 엠브레인과 20~49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 조사 결과를 1일 발표했다.

결혼에 대한 인식도를 보면 53.2%가 결혼 의향이 있었다. 결혼 의향이 없다는 응답은 27.4%였는데 여성(34.6%)이 남성(21.5%)보다 높았다. 연령별로는 40대 35.3%, 30대 30.5%, 20대 22.2% 순이다.

성별로 구분하면 남성은 경제적 불안 20.1%, 혼자 사는 것이 더 행복 18.9%, 결혼 조건을 맞추기 어려워서 15.8% 순으로 답이 많았고 여성은 혼자 사는 것이 더 행복 17.6%, 가부장제 및 양성 불평등 문화 16.2%, 결혼하고 싶은 인연을 못 만날 것 같아서 12.4% 순이었다.

결혼 의향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 중 38.6%는 정부 정책과 기업 지원이 확대되면 결혼 의향을 바꿀 수 있다고 답했다. 반면 61.4%는 정책·지원과 무관하게 비혼 입장을 고수했다.

출산에 대한 인식을 보면 42.6%가 출산 의향이 없었고 37.8%는 출산 의향이 있었다. 출산 의향이 없는 응답자는 여성(52.9%)이 남성(33.1%)보다 많았다.

여성이 출산을 원하지 않는 이유로는 13.9%가 아이를 낳을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이어 자녀를 돌봄·양육할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12.7%), 자녀 교육에 막대한 비용이 들어서(10.7%) 순이었다.

남성의 경우 고용 상태·직업이 불안정해서 17.9%, 자녀를 돌봄·양육할 경제적 이유가 없어서 16%, 아이를 낳을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 10.5% 순으로 답이 많았다.

출산 의향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 중 44.1%는 정부 정책과 기업 지원이 확대되면 출산 의향을 바꿀 수 있다고 답했다. 반면 55.9%는 정책·지원과 무관하게 비혼 입장을 고수했다.

특히 출산 의향이 없다고 답한 유자녀 기혼자의 경우 55.3%는 정책과 지원 제도를 통해 출산 의향이 있는 유동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100점 만점으로 정부 정책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육아휴직 확대와 급여 지원이 73.4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어 부모 급여 및 아동 수당 70.5점, 어린이 병원비 경감 68.4점, 아이 돌봄 지원 사업 68.3점, 국공립 어린이집 유치원 증설 63.7점 순이다.

부모급여를 최대 100만원으로 인상한 제도에 대해서는 59.3%가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추가 상향할 경우 140만~150만원이 적절하다고 인식했다. 증여세 공제 혜택 확대에는 47%가 긍정 평가를 내렸다.

기업 지원의 경우 자녀 학자금 지원에 대한 점수가 72점으로 가장 높았고 자녀 보육비 지원 70.7점, 자동 육아휴직 제도 69.9점,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69점 등이 있었다.

비혼 출산에 대한 찬성도는 31.2%였고 반대는 35.5%였다.

유혜정 한미연 선임연구위원은 "이번 조사는 저출산 대응을 위한 정부정책과 기업지원의 방향과 규모를 결정하는데 단서를 제공하는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며 "결혼출산에 대한 유동층의 규모와 인식수준에 따른 선호정책을 파악한 만큼 정부와 기업이 효과적으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면밀한 정책 수요자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