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한은 "소비 둔화에 지난해 카드 이용 증가세 축소"

등록 2025.03.26 12:00:00수정 2025.03.26 14:46: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한국은행 '2024년중 국내 지급결제동향'

모바일결제, 실물카드보다 더 사용

모바일결제 중 '페이'가 절반 넘어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2일 서울시내 전통시장을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정부가 내수회복과 민생안정을 위해 총력전을 펼친다. 총 18조원 규모의 공공부문 가용재원을 총동원해 경기를 뒷받침하고 2025년도 예산안의 신속집행을 가속화해 민생지원에 대한 체감도를 높여나간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재정, 세제, 공공기관, 민간투자, 정책금융 등 공공부문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경기를 되살린다는 구상이다. 재정·공공 추가 투자 6조원과 정책금융 12조원 등 18조원 규모의 재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재정 부문은 주요 사업 기금 계획에 추가로 2조5000억원을 확대한다. 이와 함께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 등 탄력세율 적용과 식품·사료 원료에 대한 할당관세 적용 등 세제 지원을 병행한다. 2025.01.02. jhope@newsis.com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2일 서울시내 전통시장을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정부가 내수회복과 민생안정을 위해 총력전을 펼친다. 총 18조원 규모의 공공부문 가용재원을 총동원해 경기를 뒷받침하고 2025년도 예산안의 신속집행을 가속화해 민생지원에 대한 체감도를 높여나간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재정, 세제, 공공기관, 민간투자, 정책금융 등 공공부문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경기를 되살린다는 구상이다. 재정·공공 추가 투자 6조원과 정책금융 12조원 등 18조원 규모의 재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재정 부문은 주요 사업 기금 계획에 추가로 2조5000억원을 확대한다. 이와 함께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 등 탄력세율 적용과 식품·사료 원료에 대한 할당관세 적용 등 세제 지원을 병행한다. 2025.01.02. jhope@newsis.com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민간소비 둔화 영향으로 지난해 카드 이용 증가세도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결제는 2023년 처음으로 실물카드를 추월한 후 증가세를 이어갔다. 네이버페이나 삼성페이 등 이용규모는 전체 모바일기기 결제의 절반을 처음으로 넘겼다.

26일 한국은행의 '2024년중 국내 지급결제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지급카드 이용규모는 일평균 3조4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4.1% 늘었다. 다만 민간소비 증가세 둔화 영향으로 증가폭은 직전년(6.2%)보다 축소됐다.



민간소비 증감률은 지난 2022년 +8.8%를 기록했지만, 2023년 +5.1%로 줄었고, 지난해에는 +3.2%로 더 줄었다. 지급카드 이용규모 증감률도 2022년 12.7%로 정점을 찍은 후 이듬해 +6.2%로 떨어진 후 지난해에는 +4.1%로 쪼그라들었다.

세부적으로 후불형(일평균 2조7000억원)과 직불형(일평균 7000억원)은 전년대비 4.3%, 3.7% 늘었다. 선불형(-28.7%)은 서울사랑상품권의 판매 대행점이 지난해 4월 신한카드에서 전자금융업자로 변경된 영향으로 크게 감소했다.

지급형태별로 온라인 쇼핑과 택시호출앱 등 비대면지급 이용규모(일평균 1조2000억원)는 전년 대비 4.1% 증가한 반면, 대면지급(일평균 1조8000억원)은 전년도 수준을 유지했다. 이 결과 전체 이용규모 중 비대면지급이 차지하는 비중(40.8%)은 전년(39.9%) 대비 소폭 확대됐다.
자료제공=한국은행 *재판매 및 DB 금지

자료제공=한국은행 *재판매 및 DB 금지





접근기기별로 실물카드를 뺀 모바일기기 지급규모가 일평균 1조6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5.5% 증가한 반면, 실물카드를 이용한 지급규모는 일평균 1조4000억원으로 2.3% 감소했다. 이 결과 모바일 기기지급 비중은 2023년 50.5%로 절반을 넘은 후 지난해에는 52.4%로 더 커졌다.

본인인증 방식별로는 실물카드를 제외한 모바일기기 지급규모 중 카드기반의 간편지급 서비스 비중은 51.1%로 처음으로 절반을 넘었다.  간편지급 서비스 중 ICT업체나 휴대폰제조사 등 핀테크기업 비중은 70.3%로 확대된 반면, 카드사 이용 비중은 29.7%로 축소됐다.

어음·수표 이용규모(일평균 16조원)는 전년(15조6000억원) 대비 2.7% 증가했다. 자기앞수표는 16.6% 감소했고, 어음은 공모주 청약 관련 전자어음 발행 증가 등의 영향으로 4.2% 증가했다.

소액결제망을 통한 계좌이체 규모(일평균 99조2000억원)는 전년(92조7000억원) 대비 7.0% 증가했다. 전자금융공동망(+7.2%)을 이용한 계좌이체 규모(일평균 90조4000억원)는 인터넷뱅킹(+10.3%) 및 펌뱅킹(+9.7%)을 중심으로 증가세가가 확대했다.

민효식 한은 결제인프라안정팀 과장은 "지급카드 규모가 민간소비 증가세 둔화 영향으로 증가폭이 축소됐다"면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지급 규모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반면, 실물카드를 이용한 지급규모는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njh32@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