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가족돌봄청년…하루 평균 4.8시간, 치매·고령 부모 돌봄 가장 많아

등록 2025.03.27 11:15:00수정 2025.03.27 12:26:2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치매·고령 부모 돌봄 가장 많아…평균 6.72년 돌봐

62% 가족 '거의 매일' 돌봐…경제적 어려움 호소

시, 자기계발 프로그램 안내 및 금융·심리 상담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이재은 기자 = 서울에 거주하는 가족돌봄청년들은 하루 평균 4.8시간 가족을 돌보는 데 할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고령(31%) 부모 돌봄이 많았으며 돌봄 기간은 평균 6.72년에 달했다. 또 가족을 돌보는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경제적 어려움(90.8%)이었다.



서울시가 2023년 8월부터 1년간 '가족돌봄청년 지원 사업'에 참여한 206명을 조사한 결과를 27일 밝혔다.

주당 돌봄 시간은 33.6시간(일평균 4.8시간)이었으며 응답자의 62.6%는 가족을 '거의 매일' 돌본다고 답했다. 평균 돌봄 기간은 6.72년으로 5년~10년이 37.4%, 2~4년 사이가 26%였다.

돌봄 이유로는 치매·고령(31%)이 가장 많았고 신체 질환(16.9%)이 뒤를 이었다. 돌봄 대상은 어머니(37.3%), 아버지(26.7%), 형제·자매(13.5%), 조부모(10.6%) 순이었다.



가족을 돌보는 과정에서 가장 힘든 점은 경제적 어려움(90.8%)을 꼽으며 가장 필요한 도움은 '생계 지원(93.2%)'이라고 답했다.

서울시 가족돌봄청년 지원 서비스를 이용한 뒤 '돌봄 부담이 감소(또는 매우 감소)했다'는 응답이 53.2%였으며, 68.4%는 '심리·정서적 안정에 도움(또는 매우 도움)됐다'로 조사됐다.

시는 이번 조사 결과 및 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돌봄청년 각각의 어려움을 해소해 줄 맞춤형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디딤돌소득·서울런 등 기존에 70개였던 공공 서비스를 올해부터는 158개로 확대, 연계해 주고 돌봄 경험 공유 및 긍정적 정서 형성을 도와줄 가족돌봄청년 네트워크(영케미), 자기계발 프로그램 등에도 참여할 수 있도록 안내할 예정이다.

또 생계·주거·학습·의료 등 각 분야별 가족돌봄청년 지원 사업을 함께해 온 7개 업무협약 기관과 더불어 청년층에게 선호도 높은 금융·심리 상담 등 관련 민간기관과의 협력도 강화해 나간다.

청년뿐 아니라 가족을 돌보는 누구나 돌봄서비스가 궁금하다면 안심돌봄120(1668-0120)으로 연락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고난도 돌봄이 필요한 장애인 등의 경우에도 대상자별로 이용할 수 있는 돌봄 종류와 신청 자격·절차 등을 안내 받을 수 있다.

윤종장 서울시 복지실장은 "한창 미래를 그리고 꿈을 향해 달려나가야 할 시기에 가족을 돌보며 가장 역할을 하느라 자신을 챙기지 못하는 청년이 없도록 발굴부터 지원까지, 가족돌봄청년을 위한 정책을 더욱 꼼꼼하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lje@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