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재가동 vs 중지…주민협의체, 세종보 끝장토론 참여한다

등록 2025.03.31 16:41:3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환경단체 "토론 필요…세종시의회가 주관해야"

[세종=뉴시스] 송승화 기자 = 열려 있는 세종보 전경. 2025.03.31.ssong1007@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 송승화 기자 = 열려 있는 세종보 전경. 2025.03.31.ssong1007@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송승화 기자 = 세종보가동주민협의체는 최근 환경단체가 최민호 세종시장에게 제안한 토론에 응하겠다고 31일 밝혔다.

이들은 이날 세종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환경단체가 제안한 끝장 토론에 적극적으로 응할 의사가 있다"며 "환경단체의 일방적인 주장으로 가동이 지연, 주민 목소리를 경청해 줄 것을 행정당국에 촉구한다"고 말했다.



앞서 금강유역 환경시민단체는 지난 24일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 시장과 더불어민주당 세종시당에 토론을 제안하면서 "제대로 된 숙의과정이 있어야 한다"며 "제1야당인 민주당은 4대강 사업 반대와 16개 보 해체, 물관리 정책 정상화를 당론으로 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세종보가동주민협의체는 31일 "환경단체가 금강 수변공간 조망권과 수상레저 활동기회를 침탈하고 있다"며 "행정중심복합도시 기본계획에 따라 건설됐고 이를 신뢰하고 이주, 상가 구입을 결정한 시민 권리는 보호가치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보 가동으로 수면적이 넓어져 시각적 개방감과 심리적 안정감 제공으로 생기는 조망권에 따른 부동산 가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며 "환경단체가 세종보 건설을 정치적 잣대로 해석하는 오류를 범하고 자신 논리에 부합하는 연구 결과만 인용, 시민을 오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박창재 세종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정략적이거나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허위 사실을 얘기하는 것에는 우려가 된다"며 "하지만 그렇더라도 오해를 풀기 위해서 차분하게 대화와 토론은 필요해 보인다"고 밝혔다.

박 사무처장은 토론 시간, 장소 등 구체적 사항에 대해 "세종보 관련 토론은 큰 사안이고 정책 의견 수렴 차원에서 세종시의회가 주관해 양측이 만나 (토론회를) 했으면 한다"고 설명했다.

세종보는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 이전인 지난 2006년 11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 계획에 따라 별도로 만들어진 총길이 348m의 소형 보다. 2023년 11월 환경부는 수문, 유압실린더 수리 등 장비를 교체하고 현재까지 환경단체 등과 마찰을 빚고 있다.

최 시장은 지난 20일 기자회견에서 "앞으로도 친수공간 조성으로 침체된 지역 상권과 경제를 살리는 기폭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시민도 재가동 찬성이 42%로 반대 20.3% 대비 2배에 달하는 점을 고려해 재가동을 미룰 이유는 없다"고 주장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song1007@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