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서울시, 60세 이상 저소득층 1000명에 도시락·반찬 배송

등록 2025.04.08 11:15: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민간 업체 조리 후 거점 기관에 전달

[서울=뉴시스] 서울 밥상. 2025.04.08. (자료=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서울 밥상. 2025.04.08. (자료=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박대로 기자 = 급식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는 60세 이상 저소득층 1000여명에게 식사를 배달하는 '서울 밥상'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8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 밥상은 지난해 9월 개최한 시 실국장 대상 창의 연찬회에서 제안돼 최우수상을 수상한 정책이다.



시와 계약을 맺은 민간 조리 업체가 대량으로 도시락과 밑반찬을 만들어 복지관 등 거점 수행 기관에 공급하면 이들 기관이 집으로 음식을 배송한다.

공공 조리 공간이나 인력을 확보하지 않아도 된다. 민간 업체가 대량으로 식자재를 구매·조리하기 때문에 동일 비용으로 보다 고품질 급식을 제공할 수 있다.

배달 플랫폼이 될 관내 복지관, 대한노인회지회, 돌봄통합센터 등 33개소 거점 수행 기관이 선정됐다.



조리를 맡을 민간 업체로는 지난 3월 일반 경쟁 입찰을 통해 학교, 병원 등을 대상으로 급식 서비스를 제공 중인 ㈜현대그린푸드가 선정됐다.

서울 밥상 시범 서비스는 오는 9일부터 8개 자치구 저소득 고령 주민 845명을 대상으로 이뤄진다.

매주 민간 조리 업체에서 조리된 도시락 7일분(주 5일 배송)과 밑반찬 7일분(주 2일 배송)이 전달된다. 명절이나 어버이날·노인의 날 등에는 특식이 제공될 예정이다.

지원 대상은 생계 급여 수급자 기준 부적합으로 급식을 받지 못하는 독거 어르신, 기초 생활 수급, 차상위 계층 등이다.

시는 올 하반기 서울 밥상 사업 참여 자치구를 추가 모집하고 성과 평가 등을 실시 후 내년에는 전체 자치구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서울 밥상은 기존 공공 어르신 일자리 사업과 연계 진행해 어르신 일자리 창출에도 도움을 줄 것"이라며 "배달 과정에서 어르신들 간 안부를 주고받으며 정서적인 돌봄도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윤종장 서울시 복지실장은 "추가 공간 확보 없이 안정적으로 급식을 제공할 수 있는 서울 밥상을 통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취약 계층 어르신들에게 영양가 높은 양질의 급식을 대접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daero@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