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2030년 수소버스·트럭 3만대 달린다…尹정부, 수소경제 드라이브

등록 2022.11.09 18: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관계부처 합동 '수소경제 정책 방향' 발표

2036년 청정수소 발전 비중 7.1%로 확대

선진국 수준 기술, 전문기업 육성도 추진

생산 기술 국산화·저장 기술 고도화 목표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 고은결 기자 = 정부가 탄탄한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을 통해 오는 2030년 수소상용차 3만대 보급, 2036년 청정수소 발전 비중 7.1% 달성을 추진한다.

핵심기술 개발, 수출 산업화 등도 지원해 2030년 선진국 수준 기반 기술 확보와 수소전문기업 600개 육성에도 나선다.

정부는 9일 롯데호텔 서울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를 열어 '새정부 수소경제 정책방향'과 실행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위원회 회의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렸다.

정부는 수소산업의 본격적인 성장을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번 정책방향을 마련했다. 3대 성장 전략으로는 ▲규모·범위의 성장 ▲인프라·제도의 성장 ▲산업·기술의 성장을 제시했다.

풀어 말하면 발전·수송 분야에서 대규모 수소 수요를 창출하고, 청정수소활용 촉진을 위한 유통 인프라와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세계 1등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기술 확보에도 나선다.

정부는 이런 정책 방향을 달성하기 위한 세부 실행 방안으로 ▲청정수소 생태계 조성 방안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 전략 ▲수소기술 미래전략 등 3개 안건을 발표했다.

우선 '청정수소 생태계 조성 방안'은 대규모 수소 수요 창출과 그에 걸맞는 인프라·제도를 구축해 수소 생태계를 확장하는 내용이다.

2030년 수소상용차 3만대, 액화수소충전소 70개소, 2036년 청정수소 발전 비중 7.1% 달성이 목표다. 정부는 이를 통해 2030년 47조1000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9만8000명의 고용 창출, 온실가스 약 2800만톤(t)을 감축하는 성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를 위해 수소버스·트럭에 대한 정부의 구매보조금을 확대한다. 시내버스 보조금은 기존 1억5000만원에서 내년부터 2억1000만원으로, 광역버스 보조금은 2억원에서 2억6000만원으로 높인다. 보급 규모도 올해 수소버스 340대, 수소트럭·청소차 10대 수준에서 내년에는 버스 700대, 트럭·청소차 220대로 확 늘린다.

이외에도 수소버스·충전소 구축 지원 시범사업, 경찰버스 수소버스 전환, 수소버스 취득세 감면과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 연장 등을 추진한다.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아울러 수소 50%, 암모니아 20% 이상 혼소 발전을 위해 기술 개발과 실증을 완료하고, 2028년부터 단계적으로 확산한다. 또한 2025년까지 수소환원제철 전환의 기초기술을 개발하고, 2030년까지 석유화학 설비에 투입되는 연료 전부 또는 일부를 수소로 전환한다.

수소 수요 증가에 대응할 유통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연 4만t 규모의 액화수소 플랜트 구축에도 나선다. 보조금 확대와 기술 개발 지원으로 액화충전소도 확대한다.

또한 2030년까지 석탄발전소 밀집 지역에 연 400만톤급 암모니아 인수기지를, 액화천연가스(LNG) 밀집 지역에는 연 10만톤급 액화수소 인수기지와 수소 전용 배관망을 구축한다.

국내외 대규모 청정수소 생산기지와 공급망도 갖춘다. 국내 그린수소 생산 확대와 더불어 민관 공동으로 해외 청정수소 생산 시범 사업을 추진한다.

이외에 내년 상반기부터 수소발전 입찰시장을 개설하고, 전력수급기본계획 등을 고려해 연도별로 수소발전량을 입찰한다. 내년까지는 청정수소의 기준과 인증제 운영방안을 마련하고, 2024년까지는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한국형 청정수소 인증제를 도입한다.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 전략'은 7대 전략분야 육성, 규제 완화를 통한 핵심기술 확보, 수출 산업화 추진이 주된 내용이다. 이에 따라 2030년까지 선진국 수준 기술 확보, 세계 1위 품목 10개, 수소전문기업 600개를 육성한다는 목표다.

구체적으로 수전해, 액화수소 운송선, 트레일러, 충전소, 연료전지(모빌리티·발전), 수소터빈 등 7대 전략 분야의 기술 개발을 집중 지원한다. 또한 수소기업 발굴과 지원 강화를 비롯해 스타트업과 업종 전환 기업도 예비전문기업으로 지원한다. 지역별 특화된 클러스터 조성과 함께, 수소 전문인력 양성, 기술지원 전문기관을 신설할 예정이다.

아울러 규제를 수시로 발굴·개선하고, 규제 정보는 사전에 제공한다. 수소 모빌리티, 발전용 연료전지, 수전해 시스템, 액화수소 운송선, 수소충전소 등 5대 유망 분야는 수출 상품화를 적극 지원한다.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마지막으로 '수소기술 미래전략'은 민관이 함께 국산화가 시급한 기술 분야를 우선 개발하고, 수소 분야 초격차 기술을 확보하는 게 골자다. 수전해 기술 국산화율 100%, 액화·암모니아 기술 확보, 수소 모빌리티 시장 1위 달성 등이 목표로 제시됐다.

3대 추진전략은 청정수소 생산기술 국산화, 수소 공급을 위한 저장·운송 기술 고도화, 수소 활용 기술 초격차 확보다. 이를 위해 주요 기술 국산화·보급을 비롯해 차세대 기술 확보하고, 국제 표준과 인증 체계 확보 등이 세부 과제로 마련됐다.

한편 이번 위원회에서는 기존 위원의 임기 만료에 따라 2기 민간위원을 신규 위촉하고, 산업계 위원을 3명에서 5명으로 확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