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르펜, 마크롱 압박 본격화…"총선 승리하면 우크라 파병 차단"

등록 2024.06.28 12:42:5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바르델라 대표가 총리 되면 우크라 파병 막을 것"

[파리=AP/뉴시스]극우 성향 국민연합(RN)을 이끄는 마린 르펜 국민의회(하원) 의원이 총선 앞 높은 지지세를 앞세워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프랑스는 오는 30일과 다음 달 7일 총선을 치른다. 사진은 조르당 바르델라(오른쪽) 국민연합 대표가 지난 24일(현지시각) 르펜 의원과 프랑스 수도 파리에서 열린 기자회견 뒤 자리를 떠나는 모습. 2024.06.28.

[파리=AP/뉴시스]극우 성향 국민연합(RN)을 이끄는 마린 르펜 국민의회(하원) 의원이 총선 앞 높은 지지세를 앞세워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프랑스는 오는 30일과 다음 달 7일 총선을 치른다. 사진은 조르당 바르델라(오른쪽) 국민연합 대표가 지난 24일(현지시각) 르펜 의원과 프랑스 수도 파리에서 열린 기자회견 뒤 자리를 떠나는 모습. 2024.06.28.


[서울=뉴시스] 이명동 기자 = 극우 성향 국민연합(RN)을 이끄는 마린 르펜 국민의회(하원) 의원이 총선 앞 높은 지지세를 앞세워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프랑스는 오는 30일과 다음 달 7일 총선을 치른다.

르펜 의원은 26일(현지시각) 공개된 르 텔레그램 드 브레스트와 인터뷰에서 "조르당 바르델라 국민연합 대표는 마크롱 대통령과 싸울 생각이 없지만 레드라인(허용 한계선)을 설정했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 군대를 보낼 수 없다"고 직격했다.

그는 "대통령이 군 최고 통수권자라는 것은 명예직에 불과하다. 왜냐하면 지갑 끈을 쥐는 것은 총리이기 때문"이라고 마크롱 대통령의 영향력이 약화할 것임을 시사했다.

이는 지난 2월 마크롱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지원 국제회의를 주최한 뒤 서방 지상군 파견을 거론하고, 그 뒤로도 여러 차례 전략적 모호성을 이유로 들어 파병론에 불을 지핀 바 있다.

앞서 르펜 의원은 국민연합이 총선에서 승리하면 마크롱 대통령 사임 만이 그의 남은 임기 3년 동안 의회 공전을 막는 유일한 해법이라며 용퇴를 종용했다.
[브뤼셀=AP/뉴시스]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왼쪽)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27일(현지시각) 벨기에 수도 브뤼셀에서 열린 EU 정상회의 원탁회의에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대화하고 있다. 2024.06.28.

[브뤼셀=AP/뉴시스]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왼쪽)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27일(현지시각) 벨기에 수도 브뤼셀에서 열린 EU 정상회의 원탁회의에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대화하고 있다. 2024.06.28.


프랑스는 오는 30일과 다음 달 7일 총선을 치른다. 현재 국민연합이 선두를 달리고 있어 바르델라 대표가 총리로 취임할 가능성이 부상하고 있다. 이원집정부제 권력구조를 가진 프랑스는 대통령과 총리가 모두 존재하는데, 총리는 보통 의회 다수당이나 다수 연정에서 배출된다.

바르델라 대표가 총리로 취임하면 이는 2002년 뒤로 처음 출범하는 동거정부(분점정부)가 된다.

다만 바르델라 대표의 총리 선출에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국민연합이 높은 지지세를 안고 있기는 하지만 반대 세력이 명확하다는 한계 때문이다. 국민연합이 단독 과반을 차지할 가능성이 작은 상황에서 연합 세력을 꾸릴 수 있느냐는 지적이다.

현재 국민연합의 선거 승리가 예고된 상황이다. 이날 나온 이코노미스트 여론조사에 따르면 국민연합은 지지율 37%로 가장 많은 국민 지지를 받고 있다.

굴복하지않는프랑스가 속한 선거연합 신인민전선(NFP)이 지지율 29%로 2위를 차지하면서 마크롱 대통령이 포함된 중도파 르네상스(RE)는 21%로 3위에 그쳤다.

같은 날 더타임스는 국민연합이 정부를 구성하면 프랑스 공무원이 집단 불복종으로 반기를 들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