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트럼프정부 관세 인상, 中 여파 크지 않을 수도"
김재덕 KIET 북경지원장, 베이징 모닝포럼서 주제발표
"중국산 저가 상품, 관세 인상 영향 크지 않을 수 있어"
[서배너=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대(對)중국 관세 인상을 예고한 가운데 이로 인해 중국에 미치는 여파가 크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사진은 지난 9월24일(현지시각) 미국 조지아주 서배너의 조니 머서 극장 시민센터에서 세법과 제조업에 대해 연설하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2024.11.14
김재덕 산업연구원(KIET) 북경지원장은 14일 오전 중국 베이징 차오양구 힐튼호텔에서 중국한국상회가 개최한 제94회 베이징 모닝포럼에서 내년 경제 전망과 관련해 이같이 밝혔다.
김 지원장은 중국 경제 전망과 관련해 미국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들어서는 것과 주요 국가의 대중 무역장벽 확대로 중국의 대외 교역환경이 악화할 것이라는 점을 부정적 요인으로 꼽았다.
그는 "트럼프가 1기 행정부 시절부터 내세운 '미국 우선주의'와 중국과의 무역 불균형 해소를 목표로 강경한 무역정책 추진을 천명했다"며 트럼프 당선인이 중국산 제품에 최소 60%의 관세 적용을 공언한 내용이나 반도체·인공지능 등 첨단 분야뿐 아니라 바이오 안보법 같은 신규 분야에 대한 대중 제재가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 등을 들었다.
다만 김 지원장은 "미국의 대중 관세 인상이 중국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평가도 존재한다"고 언급했다.
중국산 저가 상품의 경우 관세 인상의 영향이 크지 않고 이를 대체할 공급자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다는 점, 중국의 수출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하는 추세에 있는 점 등을 근거로 제시했다. 미국의 강달러 기조가 관세 효과를 상쇄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내놨다.
이 같은 상황에서 한국 기업들은 중국의 기회 요인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김 지원장은 "중국 첨단 산업의 투자 확대로 인해 핵심 부품과 중간재 중심의 대중 교역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전통적인 세계의 공장으로서가 아닌 미래 첨단 산업의 각축장으로서의 중국으로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폭스바겐 등 전통 자동차 브랜드들이 중국에서 부진을 겪으면서도 철수하기보다 전기차·배터리 등 신규 분야에 대한 합작을 확대하는 것과 애플의 아이폰 생산공장인 폭스콘이 인도의 공장 증설과 생산 확대에도 불구하고 다시 중국 정저우에 폭스콘 R&D센터 등으로 투자를 확대한 사례 등을 언급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