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다문화 시대 대응 위해 특수 외국어 교육 강화한다
특수 외국어 교육 진흥 5개년 기본 계획 수립
생애주기별 특수 언어 교육 지원…이중언어 교육 강화
부처 협업으로 대국민 서비스 확대…플랫폼 학습 지원
표준교육과정 타당성 제고해 평가 고도화…내실 강화
【세종=뉴시스】백영미 기자 = 세종시 교육부 전경. (사진= 뉴시스) [email protected]
외국어를 배우려는 국민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생애주기별 맞춤형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분야별 특수 외국어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추진한다.
교육부는 8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6차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특수 외국어교육 진흥 5개년 기본 계획 수립 방안을 확정했다.
이번 계획은 지난 2017년 제정된 특수외국어 교육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제2차 기본 계획안이다. 정부는 한류 확산과 국제교류 다변화, 다문화 가정 증가 등 국내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법 제정 이후 5년마다 기본 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있다.
국민 생애주기에 따라 특수 교육 지원…K-MOOC로 대국민 교육 강화
이번 계획은 학습자 생애주기에 따라 필요한 특수 외국어 교육을 지원하는 한편 관련 전문가와 후속 세대 양성을 위한 교육 방안에 방점을 뒀다.
성장단계별로 초·중등의 경우 이중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재 육성을 지원한다. 초등 방과후학교, 중등 자유 학기 활동, 고교학점제 등과 연계해 특수외국어 수업을 개설하는 한편 언어·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활동을 지원한다.
고교학점제는 선택과목 확대에 따라 아랍어·베트남어 등 제2외국어 교과 관련 온라인 공동 교육과정을 구축하고, 교과 순회 전담 교사 등이 담당하는 수업을 개설한다. 각 수업은 공모를 통해 희망 시도교육청에 우선 지원된다.
중·고교의 경우 이중 언어 인재 육성을 위해 `주니어 특수외국어 번역 인재` 과정과 진로 진학 멘토링을 운영한다. 전국 이중 언어 말하기 대회 수상자의 경우 우선 선발되며, 우수 학생에 대해선 번역 실습 아카데미, 번역 발표대회, 관련 멘토링 등을 지원한다.
대학·대학원은 강좌를 신설하고 국가 간 학생 교류를 확대한다.
온·오프라인으로 표준교육과정에 기반한 특수외국어 강좌를 제공해 학점 인정과 전공 확대에 활용하고, 동아리 활동 등과 연계해 번역 프로젝트 등 학습 활동을 활성화하도록 지원한다.
특수외국어 공용어 국가를 대상으로는 탄뎀학습 등 학생 간 교류를 늘리고 단기·중장기 국외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내년부터 특수외국어 분야에 대해선 현지국가 석·박사 과정을 수료할 수 있도록 연간 3명의 국비유학생도 선별한다.
대국민 학습 지원을 위해선 기초실용 강좌 이후 후 한국형 온라인 강좌(K-MOOC)를 통해 온·오프라인 학습을 지원한다. 교육부는 올해 상반기 운영된 21개 언어 강좌를 2026년까지 총 60강좌로 늘릴 계획이다.
분야별 특화된 외국어 전문가 양성을 위한 지원 방안도 강화한다.
특수외국어를 능숙하게 구사하는 이들에 대해선 번역 교육 전문기관, 취업 인턴십 등과 연계해 문학·문화 콘텐츠 번역가 양성 과정을 운영한다. 이 과정에서 현지 국가의 한국어 번역가 그룹과 공동 번역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등 실습 위주의 과정을 편성할 계획이다.
산학 협력 프로그램을 활용해선 산업 현장에 적합한 전문가를 육성한다. 현장 어학과 지역 이해 프로그램을 개발해 산업 현지 전문가를 양성하고, 주한 외국공관과 협력해 대사관과 연계한 프로그램도 추진한다.
아울러 분야별 강좌 운영을 위한 특수외국어 전문 강사 발굴을 위한 인력풀을 구축한다. 올해 38명 규모의 기초 실용 강좌 소양 교육 이수자를 2026명까지 누적 250명 이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언어별 전문가 추가 양성을 위해선 기존 15개 언어에 이탈리아어·라오스어 등을 추가해 지원한다. 또 전문 교육기관을 신규 지정하는 한편, 학과·대학과 연계한 전공 교육 및 대학원 진학에 대한 지원도 강화한다. 특히 다양한 외국어 교육을 위해 소수 학생 대상 과목에 대한 개설 기준을 완화할 방침이다.
부처 간 협업 늘려 대국민 서비스 확대…플랫폼 기반 학습 지원도
이번 계획에는 대국민 서비스 확대를 위한 부처 간 협력 방안도 포함됐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부처 간 정책을 연계해 특수외국어 지원 서비스를 확대한다. 사회통합 및 조기 적응 프로그램의 경우 강의 내용에 대한 번역 서비스가 지원되며,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대해서도 통·번역 서비스와 강사 양성을 지원한다.
구성원 다양화에 따른 학교 맞춤형 교육으로는 다문화 가정 자녀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다문화 가정 대상 국가와의 교류사업과 연계해 학습자 간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시도교육청과 함께 초·중등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방학 캠프 등을 운영한다.
국내외 언어 교류 협력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해선 대학, 정부, 대사관 등이 참여하는 국제 특수외국어 정기 포럼을 연 1회 이상 개최해 성과를 공유하고, 학습·연구 지원을 위한 플랫폼의 기능도 개선한다. 포털 기능 개선을 통해 각 강좌와 자료, 채용 정보 등에 대한 접근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표준교육 적합성 제고해 평가 고도화…사업 내실화 추진
이 같은 방안이 교육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운영에도 내실을 꾀한다.
먼저 교육과정 평가 고도화를 위해 언어별 표준교육과정에 대한 현장 타당성·적합성을 제고한다.
사업 연구, 개발 성과 등 현안을 분석해 개선 과제를 도출하고, 평가 문항 등에 대해선 현장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한 체계를 구축한다. 교육과정·평가 전문가, 특수외국어 전공 교수 등 10여명으로 구성된 자문 협의기구에서 이를 추진할 계획이다.
언어별 어학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 체계도 구축한다.
특수외국어 사용국이 시행 중인 외국어 대상 어학평가를 분석해 국내에서 시행하고 있는 4개 언어 외 시험에 대해서도 시험 확대를 추진하고, 교육과정 체계에 맞는 어학 능력 평가 관련 개선안을 마련한다.
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선 정부, 교육기관, 민간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운영해 각 사업에 대한 모니터링과 성과 관리를 통해 기관별 역할을 제고토록 지원한다. 9월부터는 사업 평가를 강화하기 위한 성과지표를 개발해 추진 시기별 평가와 사업 개선 및 효과성을 검증해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국고 사업에 대한 평가, 정책연구 및 포럼 등에서 제안된 내용에 대해선 개선점을 반영하기 위해 추후 관련 법 시행령 개정도 검토할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