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데이터·AI·수소경제, 韓대표 분야로…5년간 10조 투입

등록 2018.08.13 14:3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혁신성장 관계장관회의서 '혁신성장 전략투자 방향' 설정

3대 핵심 프로젝트 선정

빅데이터·AI·블록체인 기반 구축…데이터 거래환경 조성

'데이터 디바이드' 방지…중소기업 바우처 제공

수소 생산거점 구축…수소버스 내년부터 5개 도시 시범운영

【서울=뉴시스】 (뉴시스DB) 

【서울=뉴시스】 (뉴시스DB)  

【세종=뉴시스】이윤희 기자 = 정부가 데이터경제, 인공지능(AI), 수소경제를 혁신성장을 위해 3대 전략투자 분야로 선정했다. 전략적인 투자로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것인데, 이른바 '플랫폼 경제' 구현을 위한 구체적인 방향성을 설정한 모습이다.

이를 위해 각 분야별 핵심 프로젝트를 선정해 당장 내년부터 재정 지원에 나선다. 아울러 분야별 로드맵을 마련해 추진하고 혁신인재 양성 계획을 포함해 향후 5년간 9조~10조원의 재정을 투입한다.

정부는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혁신성장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혁신성장 전략투자 방향'을 설정했다.

정부는 혁신성장의 일환으로 플랫폼 경제 구현을 추진 중이다. 플랫폼 경제란 여러 산업에 걸쳐 필요한 인프라나 기술 등을 의미하는데 빅데이터와 AI 등이 대표적이다. 투자규모나 리스크 측면에서 개별기업이 추진하기는 어려운 만큼 국가적인 차원에서 전략적인 투자가 필요하다는 것이 정부의 판단이다.

선정기준은 ▲지금 투자하지 않으면 글로벌 경쟁에서 도태될 우려가 있는 분야 ▲현재 수준을 봤을 때 선도국가로 도약할 가능성이 있는 분야 ▲일자리를 창출하고 삶의 질을 개선하는 분야 등으로 세웠다.

이같은 기준에 따라 데이터경제·블록체인·공유경제, AI, 수소경제를 3대 전략 투자분야로 결정했다. 아울러 이를 가속화할 3대 핵심프로젝트도 제시했다.

첫 번째 핵심 프로젝트는 빅데이터·AI·블록체인 기반 구축이다.

정부가 선정한 10대 분야별 빅데이터 플랫폼을 중심으로 빅데이터 네트워크를 만들어 민간에서 보유한 데이터가 거래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위해 연내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련 법 개정에 나설 계획이다.

동시에 AI R&D 투자를 대폭 확대해 빅데이터 활용을 뒷받침하도록 한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해 데이터 저장에 대한 보안성과 거래 신뢰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는 실증사업을 공공분야와 민간분야에서 동시 추진한다.

내년도에만 빅데이터 네트워크 구축에 800억원, AI 핵심기술에 800억원, 블록체인에 300억원의 재정을 투입해 해당 프로젝트를 뒷받침한다.

두 번째 핵심 프로젝트는 '데이터 디바이드' 해소와 공유경제 패키지다.

플랫폼 경제가 자칫 대기업을 중심으로한 산업 구조로 흐를 수 있는 만큼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등을 대상으로한 데이터 바우처를 제공한다. 아울러 빅데이터와 알고리즘, GPU 컴퓨터 등을 지원하는 '오픈 랩(Lab)'을 만들어 AI를 활용하는 스타트업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국민들의 데이터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내년 중 공공 무선인터넷 존을 약 3만개까지 확대한다.

중소기업 경재력을 높일 수 있도록 데이터·물류·업무공간과 관련한 공유플랫폼도 구축한다. 온라인수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고, '코워킹 스페이스'도 마련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같은 계획을 위해 내년에만 1300억원의 예산을 배정한다. 데이터 디바이드 해소에 1000억원, 공유경제 기반구축에 3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수소 '밸류체인'별 기술개발과 생산거점 구축은 수소경제를 위한 핵심 프로젝트다.

밸류체인(가치사슬)이란 기업활동에서 부가가치가 생성되는 과정을 이른다. 정부는 수소 기술의 생산, 저장·운송, 활용 등 각 과정별 기술을 개발해 수소 생태계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친환경 수소생산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고효율 저장 및 운송기술을 개발하며 버스와 열차, 선박 등에 수소 기술을 활용할 예정이다.

권역별 수소 생산기지를 구축하는 등 생산거점을 구축하고, 수소버스 기반 대중교통망도 조성한다. 내년에만 수소 생산기지 3기를 신설하고, 5개 도시에서는 수소버스를 시범 운영한다.

수소경제 핵심 프로젝트를 위해 내년 중 10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정부는 연내에 주무부처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 5개년 로드맵도 마련할 계획이다. 데이터와 AI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수소경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맡는다.

내년도 주요 추진 과제는 2019년도 예산안에 반영해 국회에 제출한다. 플랫폼 경제를 위한 예산은 1조5000억원 수준이다. 올해 예산과 대비하면 약 6000억원이 늘어났다.

정부는 또한 오는 2023년까지 핵심인재 양성을 포함해 플랫폼 경제에 9~10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