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이스라엘 총리실, 전후 '팔레스타인 국가' 지위 바이든 발언 반발

등록 2024.01.20 23:28:4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뉴욕=AP/뉴시스]지난해 9월20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 뉴욕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회동하는 모습. 2024.01.20.

[뉴욕=AP/뉴시스]지난해 9월20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 뉴욕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회동하는 모습. 2024.01.20.

[서울=뉴시스] 박준호 기자 =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가자지구에서 하마스와의 전쟁이 끝난 후 팔레스타인 국가 지위에 대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발언에 다소 반발하는 모습을 보였다.

바이든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이스라엘 총리와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창설을 위한 가능한 해결책에 관해 대화를 나눴다고 밝혔으며, 한 가지 길은 비군사적 정부와 관련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와 관련해 이스라엘 총리실은 20일 성명을 내 "네타냐후 총리는 바이든 대통령과의 대화에서 하마스가 파괴된 후에도 가자가 더 이상 이스라엘에 위협이 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이스라엘은 가자(지구)에 대한 안보 통제권을 유지해야 한다는 방침을 거듭 강조했다"고 밝혔다.

네타냐후 총리가 어떤 종류의 팔레스타인 국가 지위에도 반대하는지 명확히 해달라는 질문에 이스라엘 총리실은 즉각적인 답변을 하지 않았다고 가디언이 전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네타냐후 총리와 통화한 것은 거의 한 달 만이라고 백악관은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네타냐후 총리가 재임하는 동안 두 국가 해법이 '불가능한가'라는 질문에 "아니다,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네타냐후 총리가 모든 두 국가 해법에 반대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유형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네타냐후 총리는 바이든 대통령과의 통화에서는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방안에 대헤 노골적으로 명백한 거부 의사를 표시하진 못했지만 바이든과 통화하기 전날인 18일에는 앞으로의 미래에 대해 분명한 태도를 나타냈다.

그는 "합의가 있건 없건 간에 이스라엘은 요르단강 서쪽의 전 영토에 대한 안보 통제권을 가져야 한다. 그것은 필요 조건"이라며 "그것은 주권 원칙에 어긋나지만 어쩌겠나"라고 반문했다.

가디언은 가자지구, 요르단강 서안지구, 동예루살렘을 영토로 둔 팔레스타인 국가 옆에 이스라엘이 존재하는 두 국가 해법을 향한 미국의 지원을 받는 평화회담은 10년 전에 결렬됐다고 지적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