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유가보조금 지급하라"…생존위기 건설장비업계 '총파업' 경고

등록 2025.04.02 18:22:3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젊은 층도 건설기계 조종·중장비 외면 현실, 고사 직전

경기도에 11개 요구사항 건의

[수원=뉴시스]1일 집회에서 인사말하는 건사협 노영득 수원시지회장(사진=건사협 경기도지회)2025.04.02.photo@newsis.com

[수원=뉴시스]1일 집회에서 인사말하는 건사협 노영득 수원시지회장(사진=건사협 경기도지회)2025.04.02.photo@newsis.com


[수원=뉴시스] 이준구 기자 = 건설경기의 침체와 유가 및 물가인상 등으로 건설기계업계도 극심한 불황을 겪고 있는 가운데 장비임대료 현실화 등 11개항의 지원책을 마련해달라고 경기도에 요구했다.

2일 사단법인 건설기계개별연명사업자협의회 경기도회(이하 건사협)에 따르면 15t 덤프트럭이나 포크레인·굴착기 등의 중장비는 건설기계로 분류돼 화물차나 버스처럼 유류보조비를 지원받지 못하는 것은 형평에 어긋난다며 유가보조지원을 요구했다.



건설장비 임대료도 각종 물가인상에 맞춰 현실화함으로써 생존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최근 젊은 층들이 근무여건이 열악하다는 등의 이유로 건설기계 조종·중장비업계를 외면하고 있는 현실에서 조종사들의 정년을 70세까지 연장하고 통일할 수 있도록 협조해달라고도 요청했다. 현재는 업체마다 정년이 60~65세로 천차만별이다.

이와 함께 각 지자체 별로 공유지 등을 활용, 건설기계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주차장과 같은 주기장 설치 등도 장기적으로 검토해 줄 것을 요구했다.



이들은 이밖에도 ▲응급복구 시 기관과의 장비지원 MOU ▲경기도의 표준계약서 실태조사 직접 실시 ▲경기도청 발주공사의 근로기준법 작업시간 적용 및 담당공무원 증원 ▲굴착기 과적운행 허가 APP 구축 ▲자주식 굴착기의 과적 단속 철폐 등을 건의했다.

경기도에는 회원가입을 하지 않은 사업자까지 포함하면 1만여 명이 이 사업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재일 건사협 경기도지회장은 "공고에 중장비과가 사라지거나 다른 과에 통폐합되고, 학원도 텅텅 빈 지 오래다. 이러다가는 국가기간산업의 밑거름이라 할 수 있는 건설기계업계가 없어질지도 모른다"며 "국가 차원의 지원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들은 1일 경기도청 앞에서 집회를 갖고 요구사항이 관철되지 않으면 총파업도 불사하겠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caleb@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