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인성 쇼크' 맞춤형 치료 필요…"원인별 치료결과 달라"
심인성 쇼크 빅데이터 연구 잇단 보고
심부전원인 사망위험 높아 맞춤 전략을
[서울=뉴시스]환자의 생명을 위태롭게 하는 심인성 쇼크도 원인 질환에 따라 치료 결과가 상이해 맞춤 치료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미지= 어도비스톡 제공) 2024.10.02. [email protected].
심인성 쇼크는 심장의 펌프 기능이 급격하게 나빠져 우리 몸에 필요한 혈액을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심근경색이나 심부전과 같이 중증 심장질환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게 일반적이다.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양정훈·최기홍 교수, 임상역학연구센터 조주희·강단비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이용해 2010년~2020년 중환자실에 입원한 18세 이상 심인성 쇼크 환자 13만 6092명을 분석한 결과 최근 10년 동안 환자의 사망률은 감소하고, 치료 비용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2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심인성 쇼크로 인한 원내 사망률은 심부전이 원인일 때 40.3%로 심근경색(28.5%)으로 인한 경우보다 높았다. 심부전으로 인한 심인성 쇼크 환자의 사망 위험이 심근경색이 원인이 환자보다 1.47배 증가했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이런 경향은 환자가 퇴원한 후에도 이어졌다. 심부전으로 인한 심인성 쇼크 환자의 성공적인 퇴원 후 추적 관찰 사망률 19.3% 였던 반면 심근경색 심인성 쇼크 환자는 8.5%로 낮았다.
이런 차이는 심인성 쇼크가 심장 기능 저하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원인 질환에 따른 동반 합병증의 회복 정도가 달랐기 때문으로 연구팀은 분석했다.
심근경색 심인성 쇼크 환자의 경우 84.2%가 심혈관중재술 또는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았고, 7.5%가 에크모(ECMO) 치료를 받았다. 심부전이 원인이었던 환자는 이런 치료를 받은 비율이 각각 17.6%, 4.8%로 낮았다.
반면 심부전으로 인한 심인성 쇼크 환자는 심장 이식이 필요한 경우가 심근경색 환자보다 1.67배 높았다. 같은 심인성 쇼크처럼 보여도 심부전의 주원인인 경우 좌심실보조장치 및 심장 이식 등의 고난도 심장 대체 치료가 필요하다는 의미다. 이식 장기 부족 및 기계순환보조장치 보급 제한 등 국내 여건상 고난도 심장대체 치료의 어려움이 임상 결과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최근 ‘유럽심부전학회지(European Journal of Heart Failure)에 실렸다.
연규팀은 또 심인성 쇼크 치료가 어려운 상황에서 간호등급이 높을수록 사망률이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중환자의학 국제 학술지(Critical Care)'에 보고했다.
연구팀은 동일한 연구 기간 내 심인성 쇼크 환자 7만 2950명을 대상으로 병상당 간호사 수를 따져 1등급(0.5명 미만), 2등급(0.5명 이상 0.63명 미만), 3등급 이상 군(0.63명 이상 0.77미만)으로 나누어 사망률 차이를 비교했다.
그 결과 심인성 쇼크로 인한 병원 내 사망률은 간호 1등급 30.6%, 2등급 37.5%, 3등급 40.6%로 계단식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중환자실 내 간호사 수를 늘리는 게 국가 전체 차원에서도 비용 측면에서 효과적이라는 추계도 나왔다.
간호 1등급의 경우 환자 1인당 비용이 2등급 보다 199달러, 3등급 보다 423달러 추가 발생하지만, 1년을 기준으로 1등급일 때 2등급인 경우보다 14.1일, 3등급인 경우보다 29.3일 환자가 더 생존했다.
이를 비용으로 환산해 1등급인 병원과 같은 생존기간을 기대하려면 2등급 병원에서는 연간 2만 5047달러, 3등급 병원이 4만 2888달러를 더 들여야 한다는 계산도 나왔다.
양정훈 교수는 “고령화 사회를 맞아 심인성 쇼크 환자는 늘고 있지만 사망률이 줄어드는 추세인 것은 그만큼 심장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기계순환보조 장치 등의 의료기술 발달과 투자의 증가, 심장 중환자 전문의와 간호인력 확충과 같은 다양한 요소가 결합한 덕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심부전으로 인한 심인성 쇼크 환자의 높은 사망률은 여전히 넘어야 할 과제인 만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장기기증 문화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고 최첨단 심쟁대체 치료 의료기기의 국내 도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행정적인 노력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삼성서울병원은 2013년 국내 최초로 병원 내 중환자의학과를 개설해 다학제 진료를 통해 심장 중환자를 포함한 중증 환자 진료에 앞장서고 있다.
또 삼성서울병원 심장뇌혈관병원 및 임상역학연구센터 심인성쇼크 빅데이터 연구팀은 현재 국립보건연구원과 함께 병원간·지역간 심인성 쇼크 환자의 사망률의 차이를 줄일 근거를 확보하기 위해 국가 차원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노력을 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