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총파업 철회, 광주·전남 물류 '숨통'
광양·목포항 컨테이너 반출입량 파업전 수준 회복
시멘트·레미콘 생산 늘며 건설현장 골조공정 재개
기아차 '로드 탁송' 10일까지…출고차 운송 정상화
[광주=뉴시스] 이영주 기자 = 9일 오후 광주 광산구 금호타이어 공장 주변에서 파업을 끝내고 업무에 복귀하는 화물차가 도로를 달리고 있다. 2022.12.09. [email protected]
[광주·광양=뉴시스] 변재훈 기자 = 민주노총 화물연대가 총파업을 보름여 만에 철회하면서 광주·전남 지역 물류도 숨통을 트고 있다.
9일 광주시·전남도 등에 따르면, 주요 수출입 관문인 광양항은 지난 7일 오후 5시부터 전날 오후 5시까지 일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7770TEU(20피트 규격 컨테이너 7770대 분)를 기록했다.
평시 주·야간 하루 물동량 8027TEU에 근접한 것이다. 전날 오후 5시부터 이날 오전 10시까지 야간 물동량도 4315TEU로 파업 직전 수준을 회복했다.
다만 그동안 선·환적이 밀리면서 컨테이너 화물이 쌓여있는 비율(장치율)은 68.5%로 평시보다 다소 높다.
목포항도 전일 오후 5시부터 이날 오전 10시까지 컨테이너 192TEU가 오고가 물류 흐름이 원활했다. 이날 오전 기준 장치율은 6.3%다.
자재 수급난으로 한때 곤욕을 치렀던 건설 현장도 정상화 속도가 빠르다.
전남 지역 시멘트 제조시설 5곳은 지난 9일 하루에만 시멘트 2만 3000여 t을 생산·출하했다. 파업 직전 일 출하량(2만 6300t)의 88% 수준까지 회복한 것이다.
시멘트를 원료로 하는 지역 레미콘 제조·유통업체 112곳도 모두 생산·출하에 나섰다.
시멘트 제조 시설이 없는 광주 역시 레미콘 출하량이 회복세다. 지역 레미콘 제조·유통업체 7곳의 출하물량은 평소 일 평균(약 6000t)의 80% 대에 근접했다.
자재 공급이 끊기면서 일부 공정에 차질을 빚던 건설 현장도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광주의 경우, 도시철도 2호선 등 주요 관급 공사와 민간 대형 건설현장 10여 곳이 철근·콘크리트 수급 해결로 타설 공정 등을 재개하고 있다. 전남도 내 공사장 195곳 가운데 극소수 현장만 레미콘·철근 공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다만 운송 거부 화물차가 복귀하면서 조만간 건설현장도 정상화될 것으로 도는 보고 있다.
[광주=뉴시스] 김혜인 기자 = 화물연대 총파업 일주일째인 30일 오전 광주 서구 기아 오토랜드 광주2공장에서 완성차들이 물류창고로 향하고 있다. 기아측은 카캐리아 운송 파업에 따라 대체 인력을 구해 완성차를 옮기고 있다. [email protected]
기아 오토랜드 광주공장(기아차)도 출고 차량을 실어 나르는 '카 캐리어' 108대가 차례로 현장에 복귀할 전망이다.
앞서 파업 돌입 직후인 지난달 25일부터 사측은 출하 지연에 따른 생산 차질을 대비하고자 '고육책'으로 개별 도로 운송(로드 탁송)을 하기도 했다.
공군 제1전투비행단, 함평 나비축제장 등 임시 출하장(1만 6000여 대 규모)마저 가득 차면서 최근엔 수출물량을 목포항까지 장거리 개별 운송하기도 했다.
기아차 측은 오는 10일까지는 개별 운송 체제를 유지하고 카 캐리어 복귀 상황에 따라 탁송 체제를 정상화할 계획이다.
[광주=뉴시스] 이영주 기자 = 8일 오후 광주 광산구 평동역 교차로에서 열린 화물연대 광주지역본부의 총파업 15일차 총력투쟁 결의대회 도중 한 화물운수 노동자가 고개를 숙이고 있다. 2022.12.08. [email protected]
앞서 화물연대는 지난달 24일 오전 0시를 기해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적용 품목 확대를 요구하며 총파업에 돌입했다.
안전운임제는 과로·과속 등을 막기 위해 화물 노동자에게 최소한의 운송료를 보장하고, 그보다 적은 돈을 주는 화주에게 과태료를 부과하는 제도다. 2020년 3년 일몰제로 도입돼 오는 31일 종료를 앞두고 있다.
그러나 파업을 줄곧 지지한 더불어민주당이 전날 정부여당의 '안전운임제 3년 연장안' 수용 입장을 밝히자, 화물연대는 이날 전국 16개 지역본부 조합원 투표 결과를 종합해 보름 만에 총파업 철회를 결정했다.
정부가 추가 업무개시명령을 내리는 등 강경 일변도로 맞서고 있고, 민주당마저 제도 연장으로 한 발 물러선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보름 넘는 파업에 조합원 대오 이탈 등이 현실화된 점도 작용했다.
화물연대는 투표 결과에 따라 업무에 복귀하더라도 정부와 여당을 상대로 '안전운임제 3년 연장안 입법화·적용 품목 확대' 등을 꾸준히 요구할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