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수도권 평균 통근시간 90.4분…비수도권보다 27.3분 길어"

등록 2024.08.02 12:20:23수정 2024.08.02 13:17:0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노동연구원, '통근시간 실태와 결정요인' 보고서

15년 간 통근시간 7.1분↑…경기도 17.4분 증가

남, 여 8.3분 길지만…여성, 혼인 상태별로 차이

"기혼 유자녀 女 줄어…가사돌봄 부담 경감해야"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새해 첫 평일 출근일인 지난 1월2일 서울 여의도역 인근에서 직장인들이 출근하고 있다. 2024.01.02. kkssmm99@newsis.com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새해 첫 평일 출근일인 지난 1월2일 서울 여의도역 인근에서 직장인들이 출근하고 있다. 2024.01.0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고홍주 기자 = 수도권의 평균 통근시간이 비수도권에 비해 27.3분이 더 길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또 남성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통근시간이 길었다.

2일 한국노동연구원의 '통근시간 실태와 결정요인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평균 통근시간은 72.1분으로 2004년(65.0분)보다 10% 이상 증가했다. 60분 이상 통근인구도 2004년 51.4%에서 2019년 60.8%로 9.4%포인트(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일자리와 인구가 집중된 수도권이 비수도권보다 통근 시간이 길었다.

수도권 거주자의 평균 통근시간은 90.4분으로, 비수도권의 63.1분보다 27.3분 더 길었다. 비수도권에서는 부산(78.4분), 대구(73.0분), 광주(68.0분) 순이었다.

2004년에서 2019년까지 15년 간 평균 통근시간이 가장 많이 증가한 지역은 경기도로, 17.4분 증가했다. 같은 기간 서울은 6.5분, 인천은 5.0분, 부산은 3.2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2019년 기준 남성이 75.6분, 여성이 약 67.3분으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길었다. 60분 이상 통근인구 비중도 남성은 64.4%였는데 여성은 55.9%였다.

다만 성별 차이는 혼인상태별로 달랐다. 미혼인 경우 오히려 남성보다 여성이 1.2분 길었지만, 기혼집단에서는 남성이 75.6분, 여성이 63.3분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12.3분 짧았다.

이를 분석한 손연정 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가정의 가사부담이 여성에게 가중돼, 기혼여성이 상대적으로 통근시간이 짧은 일자리를 선호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아이가 있는 경우 이러한 경향이 더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10세 이하 자녀 수별 남녀 근로자의 평균 통근시간은 여성의 경우에만 통근시간이 자녀 수에 비례해 감소했다. 연령대로 봐도 20대 후반까지는 성별 간 큰 차이가 없다가 30대 초반 이후 여성의 평균 통근시간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정부가 유치원과 어린이집으로 나뉜 만 0~5세 영·유아의 교육과 보육을 통합하는 '유보통합'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2025년부터 취학 전 아동들은 새롭게 출범하는 유치원·어린이집 통합기관에 다닌다. 정부는 이러한 내용이 담긴 유보통합 추진 방안을 발표했다. 지난해 1월31일 오전 어린이들이 서울 한 어린이집으로 등원하고 있다. 2023.01.31. jhope@newsis.com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정부가 유치원과 어린이집으로 나뉜 만 0~5세 영·유아의 교육과 보육을 통합하는 '유보통합'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2025년부터 취학 전 아동들은 새롭게 출범하는 유치원·어린이집 통합기관에 다닌다. 정부는 이러한 내용이 담긴 유보통합 추진 방안을 발표했다. 지난해 1월31일 오전 어린이들이 서울 한 어린이집으로 등원하고 있다. 2023.01.31. [email protected]



손 연구위원은 "이러한 결과는 어린 자녀의 유무와 자녀 수가 여성의 통근시간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며 "어린 연령의 자녀 수가 많아질 수록 양육과 가사 등 가정에 대한 책임감이 커지기 때문에 통근시간을 줄일 인센티브가 생기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교육수준별로는 남녀 모두 교육수준이 높은 경우 통근시간이 더 길게 나타났다.

이 역시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남성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통근시간이 증가하지만 대학 졸업과 대학원 이상 졸업자의 통근시간은 큰 차이가 없었다. 반면 여성은 중졸 이하가 61.5분, 고졸 65.1분, 대학 이상 69.5분, 대학원 이상 73.2분으로 비례적인 증가가 컸다.

이 밖에도 연령이 높아질수록 통근시간은 줄어들었고, 자영업업자가 임금근로자에 비해 통근시간이 짧았다.

손 연구위원은 이 같은 분석을 토대로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에도 높은 유연성과 근로시간을 선호하는 경향은 다른 국가의 사례에서도 유사하게 확인된 바 있다"며 "만약 여성이 더 유연하고 통근시간이 짧은 일자리를 얻기 위해 낮은 노동조건을 감수하는 것이라면 여성들이 왜 유연하고 직주근접성이 높은 일자리를 선호하는지 그 이유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우리 사회의 불평등한 성별 분업 구조와 가사와 돌봄 부담을 사회와 기업이 충분히 분담하지 못함으로써 개인이 전적으로 책임지도록 만드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며 "장거리 통근으로 인한 근로자의 일·생활 균형 저하와 자녀 돌봄에 대한 부담으로 일자리 선택 반경에 제약이 가해지는 유자녀 여성들의 현실적 어려움을 감안해 돌봄의 공공성 및 질적 수준을 강화하고, 일과 가사·돌봄 노동의 이중부담을 경감시켜줄 수 있는 사회적 보호 장치를 마련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통근시간 감소를 위해 공간구조 차원에서 직주근접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병행돼야 한다"며 "일정 생활 반경 안에 원격근무와 육아를 연계하는 공유오피스의 활성화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고, 노동시간과 가족시간 간의 균형이 이뤄질 수 있도록 장시간 노동 해소와 유연한 근무방식의 확대를 위해 정부와 기업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