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금감원, 부실PF 정리 속도전…플랫폼 활성화·저축銀 검사

등록 2025.03.04 12:49:29수정 2025.03.04 13:34: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이달 말까지 누적 7조4000억 정리 목표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서울 남산에서 아파트 밀집지역이 보이고 있다. 2024.12.01. hwang@newsis.com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서울 남산에서 아파트 밀집지역이 보이고 있다. 2024.12.01. hwang@newsis.com

[서울=뉴시스] 박주연 기자 = 금융당국이 부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정리에 속도를 내고 있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 1월 말 'PF사업장 정보공개 플랫폼'을 구축하며 195개 사업장(금융권 익스포저 3조1000억원)을 공개한데 이어 지난달 말 174개 사업장을 추가 공개했다.



이에 따라 4일 현재 정보공개 플랫폼에 공개된 사업장은 369개(금융권 익스포저 6조3000억원)으로 늘었다.

금융당국은 PF 사업장 매매 활성화와 사업 추진 정상화를 목표로 플랫폼에 정보공개 대상 사업장을 매월 업데이트하고 있다. 이달 말에는 지난해 9월 말 사업성 평가결과에서 부실 우려 사업장으로 꼽힌 곳들 중 누락된 70여개 사업장에 대한 등록을 독려, 업데이트할 계획이다.

아울러 투자 검토에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지원, 이달 말까지 누적 7조4000억원, 상반기까지 누적 8조8000억원의 익스포저를 정리한다는 계획이다.



당국에 따르면 정보공개 플랫폼 구축 후 한 달간 40여개 사업장, 80여건의 상담이 진행됐다.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2건은 매수의향서가 오가고 있어 거의 계약체결 직전이고, 7~8건은 가격 협상이 이뤄지고 있다"며 "우리 상담을 통한 계약 진행건이 이 정도이고, 상담을 통하지 않은 진행 사례도 있어 전체 계약은 더 많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정리 대상 PF 위험노출액 12조억원(상각 대상 5000억원 제외) 중 지난해 말까지 4조원 규모가 정리됐다. 지난해 연말까지의 목표인 4조3000억원에 못 미치는 규모다.

금감원은 부실 PF 정리에 속도를 내기 위해 올해 상반기 예금보험공사와 함께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공동 검사에 나선다.

금감원은 지금까지 자산 규모 2조원 이상의 대형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예금보험공사 공동 검사를 해왔다. 하지만 저축은행의 연체율이 급증함에 따라 규모와 관계 없이 공동 검사 대상을 확대키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저축은행들이 금리 인하로 부동산 경기가 회복할 것을 기대하며 부실 PF 사업장 정리에 미온적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따른 조치다.

금감원 관계자는 "PF여신 비율 등이 높다보니 검사를 통해 부실 PF사업장들이 잘 정리되고 있는 지를 확인하려는 차원도 있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이 국회 정무위 강민국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저축은행의 연체 규모는 9조1000억원으로, 3년 전인 2021년 말(2조5000억원)에 비해 264% 급증했다.

금감원과 예보는 공동검사를 통해 PF 대출의 심사·승인·사후관리 등 여신 취급 프로세스와 관련된 내부통제 전반을 점검한다. 또 위기 상황 발생시 자체 정상화가 가능하도록 자본확충 계획과 유동성 대응능력 등도 들여다본다.

공동검사 과정에서 발견된 저축은행의 위법·부당행위에 대해서는 신속하게 제재 절차를 밟을 방침이다. 아울러 PF 대출 부실원인, 내부통제 취약 사례, 부실정리 지연 등의 문제점을 저축은행 업계에 전파해 보완하고, 관련 제도개선도 추진할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pjy@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