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역대 최악의 산불' 사망자 계속 늘며 24명…부상 26명(종합2보)

등록 2025.03.26 17:12:12수정 2025.03.26 19:50: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사망자, 의성 20명·산청 4명…대피 주민 2만7천여명

중상 12명·경상 14명…의성 산불 피해자가 가장 많아

[영덕=뉴시스] 이무열 기자 = 26일 경북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 마을이 산불로 전소돼 폐허가 되어 있다. 2025.03.26. lmy@newsis.com

[영덕=뉴시스] 이무열 기자 = 26일 경북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 마을이 산불로 전소돼 폐허가 되어 있다. 2025.03.26. lmy@newsis.com

[세종=뉴시스]성소의 기자 = 경남과 경북 지역 산불로 현재까지 24명이 사망하고 26명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주택, 공장, 사찰 등 건물 209곳이 불에 타고 2만7000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26일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기준 산불로 인한 사망자는 잠정 24명으로 집계됐다. 경북 의성군 산불로 20명이, 경남 산청군 산불로 4명이 숨졌다.



이날 오후 12시51분께 의성군 신평면 교안리 한 야산에서 산불 진화헬기 1대가 추락하면서 헬기를 몰던 조종사 A씨(73)가 사망했다.

중상을 입은 사람은 산청(5명), 의성(7명) 등 12명, 경상을 입은 사람은 산청(4명), 의성(8명), 울산 울주군 온양(2명) 등 14명으로 파악됐다.

주택, 공장, 창고, 사찰, 차량, 문화재 등 209곳이 불에 타는 등 건물 피해도 막대한 규모로 발생했다. 의성이 145곳으로 가장 피해가 컸고, 산청은 64곳이 소실된 것으로 조사됐다. 울산 울주군 온양·언양은 현재 피해 규모를 조사 중이다.



산불로 대피 중인 주민은 2만7079명으로, 이 중 2만6006명이 귀가하지 못하고 있다.

대피 인원은 의성·안동이 2만313명으로 가장 많고, 울주 언양 4628명, 산청·하동 1773명, 울주 온양 365명 순이다. 고창과 정읍 주민 35명도 대피 중이다.
[서울=뉴시스] 지난 22일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은 강풍을 타고 발생 5일 만에 영덕 등 경북 동해안에 다다랐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6일 기준 산불로 대피 중인 주민은 2만7079명으로, 이 중 2만6006명이 귀가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hokma@newsis.com

[서울=뉴시스] 지난 22일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은 강풍을 타고 발생 5일 만에 영덕 등 경북 동해안에 다다랐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6일 기준 산불로 대피 중인 주민은 2만7079명으로, 이 중 2만6006명이 귀가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hokma@newsis.com


중·대형 산불은 현재 산청·하동, 의성·안동, 울주 온양·언양 총 6개 지역에서 발생 중이다.

이날 오전 5시 기준 진화를 완료한 곳은 충북 옥천 39.6㏊, 경남 김해 97㏊ 총 136.6㏊다. 산청, 하동, 의성, 울주 1만7398㏊에서는 아직 산불이 진행 중이다.

예상 산불 피해 면적인 산불영향구역은 1만7534㏊로, 전날 오전 9시(1만4693.6㏊) 대비 약 19.3% 확대됐다. 이는 여의도의 약 60.5배에 달하는 면적이다.

진화율은 오전 5시 기준 산청·하동 80%, 의성·안동 68%, 울주 온양 92%, 울주 언양 98%였으나 시시각각 변하는 중이다.

정부는 헬기 128대, 인력 1만117명을 투입해 진화 작업을 진행 중이다.

교육부는 경북 안동, 의성, 영양, 청송, 의성 등 5개 지역에 휴교를 권고했다.
[하동=뉴시스] 차용현 기자 = 26일 오후 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헬기추락 사고로 인해 운행을 중단했던 산불진화헬기가 대형 산불을 상황을 고려해 경남 하동군 옥종면 산불현장에 재 투입되고 있다. 2025.03.26. con@newsis.com

[하동=뉴시스] 차용현 기자 = 26일 오후 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헬기추락 사고로 인해 운행을 중단했던 산불진화헬기가 대형 산불을 상황을 고려해 경남 하동군 옥종면 산불현장에 재 투입되고 있다. 2025.03.26. con@newsis.com




◎공감언론 뉴시스 soy@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