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與, 산불대응특위 구성…"국가적 비상사태, 모든 자원 총동원해야"(종합)

등록 2025.03.27 12:48:53수정 2025.03.27 13:52: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고위당정협의회 예정…산불 대응 중심 논의될 듯

권영세 "피해 복구·재발 방지 대책 전반 정비할 것"

권성동 "민주, 국정 불 지르는 연쇄 탄핵 용납 못해"

특위, 특별재난지역 확대·예비비 증액 등 검토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권영세(오른쪽 네 번째부터)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 이만희 산불재난대응특위 위원장이 2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산불재난대응 특별위원회 긴급회의에서 산불 희생자 추모 묵념을 하고 있다. 2025.03.27. xconfind@newsis.com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권영세(오른쪽 네 번째부터)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 이만희 산불재난대응특위 위원장이 2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산불재난대응 특별위원회 긴급회의에서 산불 희생자 추모 묵념을 하고 있다. 2025.03.27. xconfind@newsis.com


[서울=뉴시스] 이재우 최영서 한재혁 기자 = 국민의힘은 경북 의성에서 시작해 영남권으로 번진 대규모 산불 사태에 대응하기 위한 당 차원의 특별위원회를 27일 발족했다. 지도부는 산불 진압을 위한 인력 및 장비 확충, 신속한 피해 지원 방안 마련 등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산불재난대응특별위원회 긴급회의를 열고 "이번 사태는 단순한 지역 재난이 아닌 국가적 비상사태"라며 "지금 정치가 할 일은 오직 하나,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권 위원장은 "정부, 지방자치단체, 소방당국과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신속한 지원이 이뤄지도록 최선의 노력을 하겠다"며 "장비, 인력, 물자 등 가용한 모든 자원을 총동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피해 복구와 이재민 지원에 머무르지 않고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과 국가대응 시스템 전반 정비까지 책임감 있게 준비하겠다"고 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민주당에도 초당적 협력을 거듭 촉구한다. 국토가 불타는 마당에 국정에 불지르는 연쇄 탄핵 시도는 결코 용납하지 못한다"며 "재난 앞에서 정쟁을 멈추는 것이 국민을 위한 최소한의 도리"라고 말했다.



김상훈 정책위의장도 "재난 대책 (마련에) 쓰일 목적의 예비비 1조원을 삭감한 민주당이 재난 예비비 추경 편성이 필요없다고 말하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며 "예기치 않은 화마로 희생 당하신, 재산 피해를 입은 분들의 심정에서 발언해야 하는데 너무 경솔한 발언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오는 30일 예정된 고위당정협의회와 관련해서는 "조만간 예정된 고위당정도 산불 예방, 진화 및 피해복구 지원 등으로 압축해서 진행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만희 특위 위원장은 "빠른 산불 진화로 피해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이재민에 대한 세심한 보살핌이 우선"이라며 "산불 진압에 동원된 인력들의 안전 확보에도 특별히 차질 있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기후 변화에 따른 산불을 대비하도록 대형 헬기 구입은 물론이고 진화대원 개인의 마스크에 이르기까지 산불진압 장비 확보, 인력 충원 및 처우개선, 정부 내 업무 분장, 현장 대응 체계 향상을 위한 정책 과제에 이르기까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내도록 앞장서겠다"고 했다.

이 위원장은 비공개 회의 직후 "지금 특별재난지역이 4군데 (지정돼) 있다"며 "지역 자체가 안동, 영양, 청송 이런 곳으로 획기적으로 늘어야 할 것 같아. 특별재난지역 확대 논의를 정부에 적극 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그는 "가정인데 만약 추경이 이뤄지면 재난 관련 목적 예비비의 획기적 증액이 필요하다"며 "정부 계획안이 통과됐으면 4조8000억원 정도 확보인데 지난 예산 과정에서 대폭 삭감해서 2조4000억원인가 절반으로 된 것으로 안다. 지금 쓸 수 있는 예비비는 1조6000억원 정도"라고도 했다.

이 위원장은 "이재민이 3만명 발생했는데 피하는 과정에서 뭔가 챙겨 나올 수 없었다"며 "이분들을 어떻게 잘 수용할 것인가 주거 부분이 중요한 상황이고 많은 분들이 한번에 모여 있다 보니 의료나 트라우마에 대한 심리상담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분들에 대해서 실질적 지원이 와닿게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말씀드린다"며 "가장 신속하게 지원할 수 있는 것이 행정안전부가 가지고 있는 재난특별비다. 5000억원을 가진 걸로 아는데 선지급될 수 있도록 정부와 협의하겠다"고 했다.

이 위원장은 "산불이 아직 확정된 건 아니지만 쓰레기를 태운다든지 실화에 의한 부분이 많다"며 "그런 부분에 대한 처벌 규정도 지금보다는 훨씬 상향돼야 하지 않을까"라고도 말했다.

이어 "장기적으로 대형 헬기 구매라든지 정책적으로 법률적으로 해야 할 부분을 차근차근 해나가겠다"며 "마지막으로 현장에서 산불 끄는데 종사하는 진화대나 소방대원, 경찰관들도 굉장한 피로감을 느끼고 있다. 이분들도 어떻게 현장에서 잘 챙겨나갈지 정부와 협의하겠다"고 했다.

그는 "오늘 오후 2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방문할 예정이다. 정부측 얘기를 듣고 저희 얘기도 전달할 것"이라며 "특위 위원들은 이번 주말 지역을 나눠서 현장을 (방문할 것)"이라고 했다.

이 위원장은 "(당 소속) 의원들한테 동의를 안 받고 특위 위원간 의견이지만 의원 한사람당 100만원씩 이재민들과 나눌 수 있도록 하겠다는 내용을 당 지도부에 건의드릴 생각"이라며 "그래서 많은 국민이 관심을 가지고 힘이 나눠지기를 당부 드린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재난 예비비 증액 규모'에 대해 "지난번 강릉 산불 났을 때 인상한 것이 4500억~5000억원 같다"고 말했다. 이어 "국가적 재난 자체가 소요액이 생각보다 많다. 지금 가지고 있는 1조6000억원 가지고는 대응하기 어렵다고 본다"며 "금액이 얼마나 될지는 당 정책위원회와 상의해야겠지만 많은 금액이 늘어나야 한다. 특위 위원들도 동의했다"고 했다.

그는 '특위 차원의 특별법 논의 여부'에 대해 "물론이다"며 "지금 당장은 논의할 시점이 아니지만, 재난이 수습되고 모든 것이 정착되면 이번 상황을 다시 반추하면서 법률적으로 정책적으로 개선할 것이 뭔가 리뷰하고 필요하면 전체 토론회를 같이 해서 준비하겠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ironn108@newsis.com, youngagain@newsis.com, saebyeok@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