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사범은 중독 환자…치료와 재활로 사회복귀 시켜야"
과거 마약사범은 처벌 초점…현재는 마약중독자는 환자
마약류 중독 사회재활 서비스 제공 2024년 2만 명 넘어
중독자, 새로운 환경·인간관계 있어야 공동체 필요 이유
![[서울=뉴시스] 27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소속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마약 중독 재활 기술개발 연구 국제포럼'을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마약퇴치운동본부에서 개최했다. (사진=식품의약품안전처 제공) 2025.03.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3/27/NISI20250327_0001802623_web.jpg?rnd=20250327152954)
[서울=뉴시스] 27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소속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마약 중독 재활 기술개발 연구 국제포럼'을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마약퇴치운동본부에서 개최했다. (사진=식품의약품안전처 제공) 2025.03.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송종호 기자 = 마약 중독자를 마약사범으로 처벌할 것이 아니라 치료와 재활이 필요한 환자로 보고 사회 복귀를 돕는 글로벌 동향에 맞춰 우리 정부와 사회도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7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소속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마약 중독 재활 기술개발 연구 국제포럼'을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마약퇴치운동본부에서 개최했다.
박수정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약리마약연구과 보건연구관은 “과거에는 마약사범이라고 부르며 처벌에 초점을 맞췄으나 현재는 마약사범이 아닌 마약 중독자로 부른다”라며 “마약 중독자를 환자로 보고 치료와 재활에 나서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이들의 재활과 사회 복귀를 위한 실효성 있는 지원 방안 마련이 중요해지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현재 마약 중독자의 재활은 주로 심리상담에 의존하고 있어 실질적인 회복과 재발 방지에 한계가 있다. 식약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이런 한계를 보완하고 보다 효과적인 재활 방안 마련에 나서고 있다.
박 연구관은 “마약중독 단계별 뇌변화 모니터링, 인공지능(AI) 기반 재발 기전 예측 모델 개발, 맞춤형 재활 평가 기술, 중독자 사회 복귀 전략 수입을 위한 국제 협력 연구 등 과학적 기반의 다각적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마약류 중독 사회재활 서비스를 받는 인원은 해마다 늘고 있다. 김현정 한국마약퇴지운동본부 중독재활팀장은 “2022년 1만2189건, 2023년 1만4758건, 2024년 2만3908건으로 증가했다”라며 “향후 개인별 맞춤형 프로그램의 고도화 및 다양한 지역사회 자원 연계를 통해 마약류 중독자 사회복귀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재활치료에서 이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센터가 필요한 이유는 약을 하는 시간에 다른 일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김재성 인천참사랑병원장은 "내가 약을 사용하던 환경에서 무엇이 나에게 조건화됐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이 환경으로부터 도망가는 것, 철저하게 주변을 바꾸는 것이 마약 중독으로부터 벗어나고 재활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어 "약을 하던 사람이 나가서 다른 할 일, 다른 사람을 만나는 것이 필요하다”라며 “이것이 재활에서 공동체가 필요한 까닭”이라고 덧붙였다. 새로운 환경에서 새로운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도움을 받을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독자의 재활이라는 것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song@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