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산불 확산' 안동·청송·영양·영덕 '특별재난지역' 추가 선포
경남 산청, 울산 울주, 경북 의성, 경남 하동 이어 선포
![[서울=뉴시스] 공군 CH-47 헬기가 경북 의성군 화재지역에 물을 뿌리고 있다. (사진=공군 제공). 2025.03.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3/27/NISI20250327_0020749739_web.jpg?rnd=20250327144939)
[서울=뉴시스] 공군 CH-47 헬기가 경북 의성군 화재지역에 물을 뿌리고 있다. (사진=공군 제공). 2025.03.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지난 22일 경남 산청군, 24일 울산 울주군, 경북 의성군, 경남 하동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한 데 이은 조치다.
행안부는 "대규모 산림 소실과 이재민 발생을 비롯해 산불 피해가 커짐에 따라 이들 지역에서도 정부 차원의 신속한 수습과 피해자 지원을 하기 위해 특별재난지역을 추가로 선포하게 됐다"고 밝혔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면 관련 법령에 따라 피해자 지원을 비롯한 범부처 차원의 조치가 이뤄지게 된다.
구체적인 지원 사항은 정부 합동 피해 조사를 통해 복구 계획을 수립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회의 심의를 거쳐 조속히 확정할 계획이다
한 권한대행은 "이번 산불은 인명 피해뿐만 아니라 주택 등 생활기반시설 피해가 많은 만큼 행·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조속한 피해 수습에 만전을 기하겠다"며 "하루 빨리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기준 산불로 인한 사망자는 경북 22명, 경남 4명 등 26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중상자는 경북 3명, 경남 5명 등 8명, 경상자는 경북 16명, 경남 4명, 울산 2명 등 22명이다.
사상자 대다수는 60대 이상 고령층으로, 대피 과정에서 변을 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산림 피해 면적은 3만5810㏊로, 역대 최대 피해를 냈던 2000년 동해안 산불의 피해 면적(2만3794㏊)을 넘어섰다.
◎공감언론 뉴시스 kkangzi87@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