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의성산불, 영덕 강구항까지 12시간 내 51㎞ 날랐다"
산림청, 경북 5개 시·군 대형산불 화선 식별 완료
지상서 우주 통합 기술로 대형산불 화선 탐지
![[의성=뉴시스] 김진호 기자 = 원명수 국립산림과학원 국가산림위성정보활용센터장이 27일 경북의성지역자활센터에 마련된 지휘본부에서 브리핑을 갖고, 의성산불이 영덕까지 확산된 사유를 과학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2025.03.27. kjh9326@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3/27/NISI20250327_0001802474_web.jpg?rnd=20250327142321)
[의성=뉴시스] 김진호 기자 = 원명수 국립산림과학원 국가산림위성정보활용센터장이 27일 경북의성지역자활센터에 마련된 지휘본부에서 브리핑을 갖고, 의성산불이 영덕까지 확산된 사유를 과학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2025.03.27. kjh9326@newsis.com
[의성=뉴시스] 김진호 기자 = 산림청은 경북 5개 시·군 산불 확산과 관련 위성 정보를 활용해 전체 화선 분석을 완료했다고 27일 밝혔다.
산림청에 따르면 이번 산불 확산은 사상 초유 확산 속도를 보였다.
지난 25일 오후 서쪽 선단지 화선으로부터 영덕 강구항(직선거리 50㎞)까지 비화는 12시간 이내, 최대 51㎞를 이동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비화된 불티가 민가와 산림에 동시에 떨어져 불을 키웠다. 키워진 불로부터 붙티가 민가와 산림으로 동시에 날아가 불을 키우며 이동해 민가 및 시설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매핑 드론, 적외선 탐지 비행기, NASA Suomi NPP 위성에 탑재된 가시적외선이미지센서(VIIRS) 등을 총동원해 전체 화선을 이미지로 작성했다.
![[의성=뉴시스] 미국 VIIRS센서(S-NPP위성) Active Fire Product (I band 활용) 열 탐지 결과 그림. 2025.03.27. (사진=산림청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3/27/NISI20250327_0001802496_web.jpg?rnd=20250327143050)
[의성=뉴시스] 미국 VIIRS센서(S-NPP위성) Active Fire Product (I band 활용) 열 탐지 결과 그림. 2025.03.27. (사진=산림청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우주에서 나사의 위성 기반으로 전국 대형산불 위치와 촬영시점의 산불 확산 방향과 경계 정보를 취득했다.
VIIRS는 375m 해상도로 산불이 발생한 고온영역 픽셀의 강렬한 적외선 신호를 탐지해 산불을 민감하게 찾아냈다.
넓은지역(스캔 폭 약 3000㎞)를 한 번에 관측할 수 있어 대규모 영향을 추적하기에 유용하다.
![[청송=뉴시스] 이무열 기자 = 26일 밤 경북 청송군 주왕산국립공원에 불길이 솟아오르고 있다. lmy@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3/26/NISI20250326_0020748791_web.jpg?rnd=20250326232405)
[청송=뉴시스] 이무열 기자 = 26일 밤 경북 청송군 주왕산국립공원에 불길이 솟아오르고 있다. lmy@newsis.com
내년에 농림위성이 발사되면 5m 해상도로 한번에 120㎞를 촬영해 VIIRS 위성과 융합 활용이 가능하다.
대형산불 모니터링 정확도를 높여 산불진화 전략 수립, 주민대피 동선 계획 등 산불재난 대응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연무 등 기상여건 악화 속에서도 대형산불 화선을 정밀하게 분석하는데 성공했다"며 "이번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경북지역 대형산불의 산불진화 전략 고도화, 주민대피 동선 확보 등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jh9326@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