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가톨릭대 의대 교수들도 정상 진료…"무기한 휴진 유예"

등록 2024.06.25 15:18:0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가톨릭대 의대 비대위 25일 온라인 총회

"환자불편 줄여야 한다는 의견 약 70%"

"잘못된 정부 정책에 대한 저항은 계속"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25일 서울 서초구 서울성모병원에서 의료진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삼성서울병원 등을 수련병원으로 둔 성균관대 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와 서울성모병원 등이 속해 있는 가톨릭대 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총회를 열고 휴진 여부와 방식을 논의할 예정이다. 2024.06.25. hwang@newsis.com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25일 서울 서초구 서울성모병원에서 의료진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삼성서울병원 등을 수련병원으로 둔 성균관대 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와 서울성모병원 등이 속해 있는 가톨릭대 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총회를 열고 휴진 여부와 방식을 논의할 예정이다. 2024.06.25.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을 중단한 데 이어 서울성모병원 등이 수련병원으로 속해 있는 가톨릭대 의대 교수들도 무기한 휴진을 유예하기로 했다.

가톨릭대 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25일 온라인 총회를 열고 내부 의견을 모은 결과 무기한 휴진을 유예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지난 주 금요일부터 어제 오후까지 진행된 설문조사 결과 정부의 잘못된 정책에 대한 항의를 표시하기 위한 휴진 형식의 투쟁 방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로 나왔다"면서 "그러나 휴진보다는 의료진의 피로도 증가를 고려해 대학병원에서 경증환자 진료를 최소화화는 '진료 축소의 형식'으로 전환해 환자들의 직접적인 불편이나 두려움을 줄여야 한다는 의견이 약 70%에 달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향후 큰 저항이 필요한 순간이 온다면 강력한 휴진 등에 참여하겠다는 의견은 82%였다"면서 "이번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격론을 거쳐 무기한 휴진의 시작은 유예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 "가톨릭대 산하 병원들은 다양한 형태로 잘못된 정부 정책에 대한 항의와 저항은 계속할 것"이라면서 "각 대학병원들이 휴진을 통해 정부의 정책에 항의를 표시했지만 오히려 휴진 자체에 대한 관심만 높아지고 환자들의 두려움만 키우는 역효과가 크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었다"고 했다.

비대위는 의대 증원으로 촉발된 의정 갈등으로 넉 달 넘게 학교를 떠나 있는 의대생들의 수업 파행 등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 마련을 정부에 촉구했다.

이들은 "현재 학생들이 복귀하지 못한 채 한 학기를 보내고 있는데, 의과대학의 공부는 한 학년이 1년동안 공부하기에도 벅찬 많은 양과 실습으로 이뤄져 있다"면서 "지금 복귀해서 수업을 받는다고 해도 감당하기 어렵고, 중간에 돌아오는 학생들이 감당할 수 없는 학사 과정이 진행된다면 정상적인 교육은 불가능해진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도대체 무슨 근거로 의대 교육이 가능하다고 하는지 알 수가 없다"면서 "의학교육의 근간을 무너뜨리는 행동을 멈추길 바라며 학생들에게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길 촉구한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또 정부의 의대 증원과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에 반대해 넉 달 넘게 병원을 떠나 있는 전공의들의 7대 요구사항을 받아들여줄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 

비대위는 "전공의들은 7대 요구사항에 변화가 없음을 천명한 만큼 정부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이미 시작된 대한민국 의료의 붕괴는 걷잡을 수 없는 길로 접어들게 될 것"이라면서 "그것을 바로잡는 길은 7대 요구사항을 받아들이는 것뿐으로, 그렇지 않으면 대한민국은 향후 회복 불가능한 미래를 맞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의료 정책에 대한 좀 더 많은 관심과 참여를 통해 제대로 된 의료정책을 만들어 가는데 앞장서고 다른 대학들과 힘을 합치고 다양한 관련 분야들과 협력해 정책 대안을 만들어 갈 것"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