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산업 위기 넘어라" 전남도, 민관 협의체 출범
기업 애로·규제 발굴해 정부에 공동 건의하기로
미국발 관세·중국 철강 덤핑 대응…도 전담 TF도

[무안=뉴시스] 송창헌 기자 = 전남도가 3일 철강산업의 구조적 위기와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민관 합동 전남 철강산업 위기대응 협의체를 구성, 광양만권 소재부품 지식산업센터에서 발족했다.
협의체는 전남도와 광양시·순천시, 전남도의회, 유관기관, 기업인 등 총 28명의 위원으로 이뤄졌다. 정책 자문, 기업 애로와 규제 발굴, 정부 공동 건의, 세미나와 간담회 개최 등을 통해 현장 중심 대응체계를 마련하는 역할을 한다.
전남 철강산업은 지역내총생산(GRDP)의 23.1%(2022년 기준), 전국 철강 생산량의 34.4%를 차지하는 핵심 산업으로, 전남 수출의 17.9%(2024년 기준)를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글로벌 수요 둔화, 탈탄소 전환 가속화, 중국산 저가수입재 확대, 미국의 철강 관세 부과 등 복합적인 위기 요인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3월12일부터 철강·알루미늄 수입품에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고, 중국산 철강재는 후판 기준 수입단가가 2021년 t당 940달러에서 2024년 659달러로 30% 하락하면서 국내 철강산업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전남도는 전략산업국장을 단장으로 하는 별도 전담 TF도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위기대응 전략·규제 개선과 인프라 조성·인력 양성의 두 개 분과로 구성되며, 전남도, 시·군, 광양경제청, 한국산단공단, 전남테크노파크 등 관계 기관이 참여한다.
기업 애로 발굴과 규제개선, 국가산단 중심 인프라 확충, 기술인력 양성, 투자유치 협력 등 다각적인 역할을 하며, 광양만권을 중심으로 지역 철강산업 기반 유지를 위한 실질적 대응에 나설 예정이다.
전남도는 선제적 산업위기 대응을 위해 2025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총 10억 원 규모의 철강기업 경쟁력 강화 지원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또 탄소국경세와 통상관세 등 통상환경 변화에 대한 기업 건의사항을 정부에 지속 전달하며, 반덤핑 제소, 산업용 전기요금 인하, 친환경 제품 보조금 지원 등 제도 개선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박창환 전남도 경제부지사는 "철강산업은 수십 년간 지역 발전을 이끈 원동력이자 전남 경제의 근간을 이룬 중요한 산업"이라며 "도는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고,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을 지속해서 추진하가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goodchang@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