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주 아트클럽] 무서운 신예 화가 김수수 "용광로에서 인생 봤다"
'불' 압축한 색면추상화...'전면일필법'으로 노동의 소중함 담아
15일부터 조선일보 미술관에서 첫 개인전 '불-침묵의 언어'
중국 북경중앙미술학원 졸업후 귀국...국내 공모전 휩쓸어
지난해 단원미술대전 본상·대한민국 미술대전 대상 수상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기자 = 김수수 작가가 용광로의 불의 이미지를 색면추상화로 작업한 그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기자 = 2019년 기해년, 60년 만에 찾아온 황금돼지해, 누구보다 원대한 꿈을 갖고 힘찬 날갯짓을 하는 젊은 작가를 만났다.
올해로 스물여섯 살, 화가로 공식 데뷔하는 무서운 신예다. 오는 15일 서울 조선일보미술관에서 생애 첫 개인전을 앞두고 있다.
‘2018 대한민국미술대전’에서 대상을 수상한 김수수 작가다. '불-침묵의 언어'를 타이틀로 색면 추상화 50여점을 전시한다. 조선일보미술관이 20대 작가에 전시장을 내준 건 처음있는 일이다. 공간(150평)이 큰 탓에 그동안 중견 원로작가들이 주로 전시했다. 초대전이 아닌 대관전이지만 이 미술관에서 전시는 쉽지 않은 일이다.
"윤진섭 미술평론가가 서문을 써주신 게 힘이 됐어요. 운이 좋았고요"
국제미술평론가협회 부회장인 윤진섭은 한국의 '단색화'를 세계미술시장에 알린 평론가다. 단색화(Dansaekhwa)의 영어 단어를 고유명사로 만들었다. 비평가인 그가 서문(작품평)을 썼다는 건 작품을 인정한다는 뜻이다.
평론가 윤진섭은 "20대 중반 젊은 나이에 굴지의 공모전에서 그의 작품이 주목받고 구상과 비구상 작품을 넘나드는 광폭(廣幅)의 작품세계를 선보이는 점이 흥미로웠다"고 했다. 특히 "캔버스에 담아낸 내용은 나이에 비해 노숙하며 세련됐다. 덧없는 인생에 대해 많은 것을 환기시켜 준다"고 평했다.
김수수 작가는 지난해 하반기에만 국내를 대표하는 공모전인 2018 단원미술제 본상과 대한민국미술대전 대상을 연거푸 수상했다. 그가 세상에 내놓은 그림은 '불'의 연작이다. 시리즈 제목과 달리 뜨거움보다는 서늘한 추상화다.
【서울=뉴시스】 2018 대한민국미술대전 대상을 수상한 김수수 작가의 불(火). oil on canvas 130.3x162.2cm 국전대상수상작품
작품은 적, 청, 황, 흑, 백 등 오방색이 한 화면에서 다양한 변주를 이루고 있다. 음과 양 등 상반된 ‘극과 극의 하모니’를 시각화시켰다. 국내 미술시장에 열풍을 일으킨 '단색화'와는 결이 다르지만, 젊은 작가의 흔치않은 색면화여서 주목된다. 현재 국내 젊은작가들은 대개 팝아트, 극사실화 작업을 하고 있는 추세다.
곱고 진득하게 칠해진 추상화 앞에서 그는 "불의 모습을 그렸다"고 했다.
"2년전 한 일간지 신문의 기사를 읽다가 아주 흥미로운 장면에 꽂혔어요. 화면을 꽉 채울 만큼 엄청난 불길을 마주하며 일하는 사람들의 모습이었는데, 그것을 보는 순간 묘한 흥분감이 일었죠. 무작정 사진 속의 장소를 찾아 나섰습니다."
충남 논산 연무읍 알루텍 공장에 있는 용광로였다. 단단했던 쇳덩이들이 벌건 쇳물이 되는 건 순식간이었다. 어느새 물처럼 녹아내려 아무런 흔적조차 남기지 않고 사라지는 장면은 그를 얼어붙게 했다. "용광로가 열리면서 뜨거운 열기가 온 천지에 터져 나오는 광경과 불의 색이 주변의 환경과 융합되는 장면은 너무나 인상적이었습니다.”
정신없이 사진을 찍다 멈춘채 무아지경에 빠졌다. 그러면서 깨달았다.
"온갖 감정들로 때 묻고, 많은 관계 속에 상처받으며, 수많은 시행착오로 덕지덕지한 우리의 삶도 일순간에 덧없이 사라진다는 것을… 용광로 안에서 들끓는 쇠의 모습에서 우리의 인생을 발견했다고나 할까요?"
용광로에서 본 인생의 흥망성쇠와 생멸에 대한 순환의 법칙, 그 감흥은 고스란히 화폭에 옮겨졌다. “물과 흙이 불을 만나 단단한 도자기가 되고, 아무리 단단한 돌이나 쇠라도 불을 만나 다시 원형의 본체로 녹아내리는 모습을 최대한 압축하면서 단순미를 살리려고 했습니다.”
시뻘건 용광로 앞에서 직접 체험한 '불'은 빛의 색인 오방색으로 파생됐고, 온종일 쇳덩이를 때리는 노동자처럼 그도 '그림 노동자'가 됐다.
"용광로에서 본 감동은 불의 색감과 장인정신을 뿜어내는 노동자들의 모습입니다. 용광로의 문이 열리면서 허공과 바닥을 순식간에 하나의 기운으로 아우른 벌건 '불'색은 이 세상에 나서 처음 보는 감흥을 전해줬습니다. 그런데 그 시뻘겁고 뜨거운 용광로에서 거리낌 없이 불을 조율하는 사람들의 모습에서 그야말로 장인정신을 느꼈습니다. 용광로 그림을 그리다 보니 저 또한 쇳덩어리를 매일 두드리는 노동자들의 행위와 같아지더라고요"
【서울=뉴시스】 김수수, 불(火) oil on canvas 237.1x202cm 2018. 시뻘건 용광로에 서들끓는 불을 색면추상화로 압축한 그림이다.
'불'을 화폭에 담기 위해 반복에 반복을 거듭했다. 아침 7시, 직장인 처럼 작업실로 출근해 하루종일 화폭과 씨름했다. 캔버스에 유화 물감이 평등하고 곱게 쌓이게 하는 건 시간이 약이었다. "작품을 보면 몇시간씩 작업하냐고 물어보는데, 실은 잘 모르겠어요. 낮과 밤, 몇시간의 구분은 제게 무의미해요."
무엇을 그렸는지 어려운 추상화지만 알고보면 쉽다. 작품속 붉은색과 흰색은 쇳덩이와 흰 재이기도 하고, 불이기도 하다. 검은 것(고체)이 붉은 상태(액체)를 거쳐 흰색(기체)으로 변환되는 과정은 태어나서 성장하다가 쇠퇴해서 죽음에 이르는 인생의 순환과정을 색으로 표현했다.
용광로의 불을 통해 인생의 요체를 깨달은 작가의 색면화에 대해 윤진섭 평론가는 '후기 단색화'로 규정했다. "김수수의 색면회화는 가령 미국의 거대한 대지성을 암시하는 바넷 뉴먼(Barnet Newman)의 색면회화(Color Field Painting)가 지닌 숭고미의 표출과는 다르다. 수없이 바탕색을 칠하는 행위의 반복성은 건조의 기다림에 따른 시간의 추이, 즉 시간성이 개입돼 있는 바, 이 부분은 전기 단색화의 특징 가운데 하나인 반복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고 평가했다.
들끓는 불의 이미지를 단색으로 잠재우기 위해 붓도 제작했다. 대형 붓 5~6개를 묶은 2m가 넘는 붓으로 단번에 긋는 작업을 수행한다. 화면 전체를 한 번의 붓질로 덮는 ‘전면일필법(全面一筆法)’이 특기다. 대략 10호(53×45cm) 이하의 소품이든, 100호(162×130cm) 이상의 대작이든 예외는 없다.
“화면의 크기에 따라 일필로 마무리하기 위해서 편편한 붓 여러 개를 나란히 붙인 특수한 붓을 자체 제작해서 사용합니다. 비록 캔버스에 유화물감을 사용하는 서양화이지만, 마치 화선지에 일필의 흔적으로만 완성하는 동양 전통회화의 ‘일필휘지 기법과 생략의 ‘여백정신을 염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림의 마지막 완성 단계에서 발휘되는 내리긋기의 간결하고 단순한 미학은 작품의 명상적 깊이를 더해주는 아주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
그래서 작품의 주제를 ‘몰아(沒我)’로 삼았다. "굳이 ‘자기를 잊고 있는 상태’ 혹은 ‘자신을 숨기거나 특성을 없애다’라는 사전적 의미를 들지 않더라도, 최소한의 색조로 절제된 미감을 전하려 노력했습니다”
몰아일체의 작업은 감정 싸움의 승리에서 나온다.
그는 "혼자 그림을 그리면서 가장 힘든 건 감정 다스리기"라고 했다. "그림을 그리는데 붓이 어긋나면 화가 나요. 그런데 또 잘 그려지면 기분이 막 좋아지고. 여러가지 감정들이 있는게 처음에 힘들었어요. 왜 갑자기 화가 났다가 기뻤다가 하는지, 그런 기분에 또 화가 났죠. 그러다가 어느 순간부터 계속 생각했어요. 화가 나면 화가 난 만큼, 기쁘면 기쁜 만큼 표현하니 그런 기분이 상쇄돼서 편안한 상태가 되더라고요. 그래서 그림에 감정이 없어 보인다는 말을 듣고 기분이 좋았어요."
용광로에서 발견한 인생, 끊임없는 붓질은 수행(修行)이었다. 몰입을 통해 평정심을 찾고 숙고하며 성장한 덕분일까. 20대 중반인 그는 "이젠 그림을 그리면 마음이 편하다"며 원로 화백같은 말을 내뱉었다.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기자 = 김수수 작가가 대형 붓 6개를 묶어 만들어 화면에 물감을 한번에 쓸어내리는 작업을 하고 있다.
'화가'가 되기 위해 달려온 길은 치열하다. 최근 '서울대 의대'를 가기 위한 입시 교육 현실을 다룬 방송 드라마 'SKY 캐슬'이 보여주듯 '요즘 애들'의 자기관리는 부모의 배경과도 연관있다.
김 작가도 중학교때부터 입시미술을 공부했다. 이미 초등학교 4학년때 '제5회 전국학생 사생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면서 경력을 관리했다.
1993년생 외동아들이다. "커서 뭐가 될래?" 물으면 ‘화가’였다. 3살 때부터 스케치북과 크레파스가 친구였다. “그것만 있으면 온종일 그림만 그렸던 것 같아요”
화가이자 미술사업을 하는 아버지 덕분이기도 했다. 전시장에서 그림을 보는건 숙제가 아니라 당연한 일이었다. 고등학교 3학년때 대학 선택 갈림길에 섰다. 유학이 일반화된 상황에서 한국 보다, 미국이나 중국의 대학교로 진학하고 싶었다. 미술계에 있는 아버지 지인들은 중국을 추천했다. 2011년 중국 북경중앙미술대학 유화과에 입학했다. 1950년 개교한 중앙미술학원은 청화대학 미대와 함께 중국에서 가장입학하고 싶은 1순위 미대다.
"10명이 정원이었는데 싱가포르인, 저 한국인 2명을 빼고는 모두 중국인 학생이었어요."
처음으로 부모와 떨어진 삶의 생애 처음으로 고생과 직면케 했다. '그림'과 '언어'는 가장 힘든 숙제였다. 중국에서 내로라 하는 그림 실력으로 입학한 친구들의 작업태도는 한국보다 더 치열했다.
"모두 오늘만 살 것처럼 그림을 그리는 분위기입니다" 덕분에 자극이 됐다. 하루 14시간씩 그림에 몰두했다. 시골에서 올라온 중국 친구때문이기도 했다. 가난한 친구는 학교가 최고의 연습실이었다. 모델과 재료가 제공되고 이젤이 있는 학교를 떠나면 안되는 친구의 간절함은 그에게로 옮겨왔다. 특히 유화과 교실은 한국과 달리 천장에 등이 없다. 자연광으로만 그림을 그린다. 방학때는 화가의 집에서 중국어도 배우고 그림도 그렸다.
오로지 그림을 위한 유학생활은 공모전에서 두각을 냈다. 한국에서 군대를 마치고 시도한 공모전에서 대상(2014년 제4회 대한미국 호국미술대전)을 수상하면서 자신감이 생겼다. 중국에서도 학기중인 3학년때 2016년 홍군대장정 80주년전 3등상 (중국 북경 중국미술관)을 수상했다.
2017년 중국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한국에 들어온 건, 미국 유학 준비 때문이다. 그 사이 도전한 공모전은 화가의 길을 굳게 다지는 터닝포인트가 됐다. 지난 1년간 그린 작품만 200여점에 달한다.
"제게 그림은 여러 생각들을 동시에 품고 있는 정중동(靜中動)의 제 고요한 심연을 옮기는 과정입니다."
단순한 그림이지만 ‘한 번의 붓질’로 쓸어내려 완성시키기까지 스스로를 담금질했다. 단단한 쇳조각이 불을 만나 물처럼 본연의 형체를 벗어버리듯, '불' 연작을 통해 진정한 자아를 찾아가는 수행의 과정을 녹여냈다.
【서울=뉴시스】 김수수, 불(火) oil on canvas 162.2x130.3cm 2018
생애 첫 개인전을 앞둔 그는 "아직도 덤덤하다"며 감정을 드러내지 않다가 가슴에 손을 얹고 이렇게 말했다.
“화면에 무엇인가 구체적인 상황이나 형상을 표현한다기보다, 시각적으로 구현하고 싶은 것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절제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많았어요. 그래서 평소 화면을 마주하고 잠시 눈을 감거나, 심호흡을 자주 했는데,이는 감정을 절제하고 다스리기 위한 습관이었습니다. 관람객들이 제 작품을 보고 그 사소한 감정을 느꼈으면 하는 바람이 있어요. '괜찮다'라든지, 어? 나도 그리겠는데'라는 그런 반응도 제게 무척 소중함으로 다가올 거예요. '기대하지 말자'라고 마인드 컨트롤 하고 있는데 전시가 다가오니까 설레네요. 하하"
100세 시대, 비교적 일찍 화가로 데뷔하는 그에게 그림은 '소확행'(소소하고 확실한 행복)이다. 고행과 수행사이 젊은 작가가 탄생시킨 침묵의 언어’, 단순한 추상 회화가 전한다. “노동은 소중하고 반복은 힘이 세다”는 것을. 빠르게 변하는 세상속 끈기도 재능이다. 삶은 과정의 연속, 다람쥐 쳇바퀴 같은 인생을 바꾸는 건 결국 자신이다. 준비된 사람이 운도 기회도 잡는다. 전시는 21일까지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